[인문사회]꿈…잠들면 돌아가는 창조의 공장

  • 입력 2003년 7월 25일 17시 30분


코멘트
멕시코의 화가 프리다 칼로는 꿈 이미지를 즐겨 그림의 소재로 삼았으며 그중 많은 작품은 실제의 꿈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고백했다. 칼로의 ‘꿈’.사진제공 나무와 숲
멕시코의 화가 프리다 칼로는 꿈 이미지를 즐겨 그림의 소재로 삼았으며 그중 많은 작품은 실제의 꿈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고백했다. 칼로의 ‘꿈’.사진제공 나무와 숲
◇꿈/앨런 홉슨 지음 임지원 옮김/280쪽 1만1000원

꿈을 꾸고 난 뒤 고대인들은 물었다. “꿈을 통해 신(혹은 조상)이 알려주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근대에 들어 프로이트가 물었다. “꿈은, 그동안 억압받아 온 어떤 은밀한 소망을 알려주고 있는가?”

현대 신경 정신분야의 연구자들은 묻는다. “꿈은, 두뇌의 어떤 활동 때문에 생겨나는가?” 하버드대 의대 정신과 교수가 쓴 이 책은 당연히 세 가지 중 마지막 물음에 대답한다.

꿈속의 정신상태는 평상시의 정신활동과 다른 뚜렷한 특징을 갖는다. 꿈을 꾸는 동안 우리는 엉뚱한 시공간으로 순간적으로 쉽게 이동하거나, 여러 시공간이 겹쳐지고 혼동되는 현상을 겪는다. 연속된 사건들의 원인과 결과를 따지지는 못하지만 희로애락의 정서는 평상시보다 더 생생하다.

저자는 꿈을 꾸는 동안 두뇌활동의 ‘모드’ 자체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런 꿈의 특징들이 나타난다고 말한다. 평소의 ‘저장 기억 모드’에서 ‘비저장 망각 모드’로, ‘선형 논리 모드’에서 ‘평행 연상 모드’로 뇌가 재정렬된다는 것.

꿈을 꾸는 동안 주의력 학습능력 기억력과 관련된 ‘아민(Amine)성’ 물질은 덜 분비되는 반면 환각 연상 감정과 관련된 ‘콜린(Choline)성’ 물질의 분비는 활성화된다.

그렇다면 꿈의 ‘기능’은 무엇일까. ‘꿈은 두뇌가 재정렬되는 동안 일어난 정보의 잡음을 우연히 인식한 결과일 뿐’이라는 데 저자는 무게를 둔다. 그러나 저자는 꿈이 갖는 ‘기능’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수면 속에서 새로운 모드로 정렬된 뇌는 꿈을 통해 기존의 정보를 재정리하고, 필요 없는 정보를 삭제하고, 중요한 새 정보를 기존의 정보 시스템에 통합할 수 있으리라는 분석이다.

◇꿈은 알고 있다/디어더 배럿 지음 이덕남 옮김/335쪽 9500원 나무와 숲

꿈이 가진 ‘정보 정리’의 기능은 특히 창의성이 필요한 분야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좀처럼 풀리지 않던 문제가 밤새 ‘잠 위원회’의 작업을 거친 후 다음날 아침이면 쉽게 풀리는 일이 있다.” 작가 존 스타인벡의 말은 꿈이 가진 창의적 힘을 대변한다.

18세기 이탈리아의 작곡가 타르티니는 꿈에서 악마의 바이올린 연주를 들었다. 그는 잠에서 깨자마자 꿈에서 들은 소리를 재현해 보려 했다. 그 음악은 바이올린 소나타 ‘악마의 트릴’로 탄생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꿈에서 많은 영감의 원천을 찾았다. 시인 생 폴 루는 매일 밤 침실 문 앞에 ‘시인은 시작(詩作) 중’이라는 글귀를 걸어 두고 잠자리에 들었다. 미술 분야에서는 달리의 ‘꿈’, 브루벨의 ‘달아나 버린 잠’ 등이 꿈 이미지에서 착안한 대표적 작품으로 꼽힌다.

과학자들도 ‘잠든 사이에’ 많은 성과를 이뤘다. 꿈속에서 뱀 또는 원숭이를 보고 벤젠의 분자 구조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는 케쿨레의 일화는 유명하다.

인도의 천재적 수학자 라마누잔은 힌두교의 여신 나마지리가 중요한 발견 때마다 꿈에 나타나 수학적 통찰력을 제시해 주었다고 말했다.

저자는 ‘꿈’의 저자 홉슨과 같은 하버드대 의대 소속이지만 심리학과 교수. “잠자는 동안 사람들은 외부세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낮 동안 미처 의식에 닿지 못했던 생각들이 자유자재로 조직돼 지적 성취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그는 분석한다.

“꿈은 아주 독특한 사고 양식이므로 깨어있을 때 지니고 있었던 우리의 능력을 보완하고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 꿈이 가진 힘은 거기에 있다.”

유윤종기자 gustav@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