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 비정규직 노조 설립신고서 구청 접수

  • 입력 2003년 7월 9일 18시 50분


코멘트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하청 근로자들이 9일 노조설립 신고를 함에 따라 비정규직 노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정규직은 사업자와 근로자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는 ‘특수고용직’을 빼고는 현행법상 노조에 가입하거나 자체 노조를 결성하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하지만 현실은 180도 다르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조직화하는 것도 어려울 뿐 아니라 노조를 만들었다 해도 곧 와해되는 사례가 잦다.

▽정규직 노조의 차별=비정규 근로자 보호 및 차별 철폐는 올해 노동계의 주요 요구사항 중 하나. 그러나 사측은 물론 정규직 노조도 비정규직의 노조 가입을 달가워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비정규직의 힘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정규직의 힘이 약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996개 사업장 중 노조규약 또는 단체협약에서 비정규직의 노조 가입을 명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곳은 100개에 그친 반면 노조원 자격을 정규직으로 한정한 곳은 373개나 됐다.

나머지는 비정규직 가입허용 여부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가입이 안 되는 곳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예가 옛 한국통신(현 KT).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옛 한국통신 계약직 근로자들은 노조 가입을 요구했으나 노조에서 받아주지 않자 2000년 따로 계약직 노조를 결성해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사업장에선 정규직이 비정규직 노조를 막기 위해 ‘구사대’ 역할을 한 사례도 있었다.

▽유지가 더 어렵다=비정규직 노조는 결성이 됐더라도 불안한 신분과 사측의 방해공작 때문에 얼마 가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대자동차처럼 사내하청업체를 쓰고 있는 대기업은 도급계약 해지를 무기로 하청업체를 위협한다. 하청업체로서는 칼자루를 쥔 대기업의 말을 듣지 않을 수 없어 주동자를 해고할 수밖에 없는 것.

사내하청 노조의 효시로 꼽히는 한라중공업(현 삼호중공업) 노조, 캐리어 노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노조 등은 이런 식으로 해고자 몇 명만 남은 ‘화석(化石) 노조’가 되고 말았다.

올 3월 노조를 만든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사내하청 지회도 지금까지 간부 25명이 해고됐다.

한국통신 계약직 노조도 회사 민영화와 맞물려 1500여명 정리해고, 교환원 분사(分社) 등으로 결국 500여일 만에 사라지고 말았다.

▽비정규직 보호 어떻게 해야 하나=비정규직 근로자 대책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노사정위원회의 공익위원들은 5월 사업자의 성격도 갖고 있는 특수고용직에도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협약체결권을 보장하는 안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법과 제도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민주노총 주진우(朱鎭宇) 비정규사업실장은 “대기업이 비정규직 노조를 없애기 위해 하청업체를 협박하는 것을 부당노동행위로 간주해 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동연구원 이주희(李周禧) 연구위원은 “노동계도 말로만 비정규직 보호를 외칠 게 아니라 비정규직의 노조가입을 막고 있는 노조규약을 개정하는 등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경준기자 news9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