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임연철/한국 오페라 50년

  • 입력 1998년 4월 8일 19시 19분


▼음악의 다른 장르와는 다르게 오페라의 시작은 분명하게 알려져 있다. 1597년 이탈리아 피렌체 파르디백작의 궁전에서 공연된 그리스 신화 주제의 ‘다프네’가 최초의 오페라였다. 이후 오페라가 우리나라에서 공연되기까지는 무려 3백51년의 세월이 지나야 했다. 미 군정 시절이던 48년1월 조선 오페라협회가 베르디의 ‘춘희(라 트라비아타)’를 공연, 한국 오페라의 서막을 연 것이다.

▼국내 오페라계의 대모(代母)로 알려진 김자경씨와 작고한 마금희씨가 주인공 비올레타역을 맡았던 ‘춘희’는 첫 오페라인 탓에 많은 일화를 남겼다. 그 중에서도 백미(白眉)는 한 좌익신문의 평이었다. 제목부터 ‘라 쿰파르시타(탱고곡)’로 틀리게 적고 ‘오페라는 귀족의 취미에나 맞지 인민 대중의 것은 못된다’고 비평했다. 소련에서도 오페라가 성행했던 점을 생각하면 당시 오페라에 대한 인식의 무지를 읽을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그로부터 일취월장해온 한국 오페라계는 올해 50주년을 맞으면서 9일 기념심포지엄을 열어 21세기를 향한 새 방향을 모색한다. 18일 저녁에는 솔리스트만 70여명이 참가하는 장장 4시간짜리 대형공연을 준비중이다. 한국 첫 오페라의 주역 김자경씨는 28일부터 역시 ‘춘희’를 예술의전당 무대에 기념작품으로 올린다.

▼그러나 50주년 잔치를 준비하는 성악인들의 표정은 밝지가 않다. 국제통화기금(IMF)한파 속에 대기업의 협찬이 전무하자 대부분 민간오페라단들이 공연기획 자체를 포기해 설 무대가 없기 때문이다. 성악인들은 예술의 전당에 오페라 하우스가 있지만 뮤지컬이 더 자주 공연돼 ‘뮤지컬 하우스’로 오해될 지경이라고 하소연한다. 종합예술인 오페라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중지를 모았으면 한다.

임연철<논설위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