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늪에 빠진 보험사, M&A 매물 줄줄이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0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커버스토리]


수익성 악화로 신음하던 보험사들이 줄줄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오고 있다. 짙어진 저금리, 저성장의 충격이 보험업계에서부터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자산 거품이 꺼지면서 저금리가 본격화됐던 일본도 경기 침체와 역마진이 겹치며 보험사들이 줄도산을 한 적이 있다. 아직 섣부른 감은 있지만 한국도 그와 비슷한 길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업계에선 나오고 있다.


○ 쏟아지는 매물… 보험업계에 무슨 일이

KDB산업은행은 지난달 KDB생명(옛 금호생명) 매각 공고를 내고 새 주인 찾기를 본격화했다. 한국교직원공제회도 자회사인 더케이손해보험 매각을 위해 국내 금융지주사와 사모펀드(PEF)에 투자안내문을 배포했다. 여기에 동양생명과 ABL생명도 잠재적 매물로 거론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이들의 최대주주인 안방보험의 해외 자산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는 까닭이다. 자본 확충을 추진 중인 MG손해보험도 매물 후보다.

M&A 시장에 보험사 매물이 줄줄이 등장하는 것은 보험업계의 암울한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저금리로 투자영업이익이 감소하면서 올해 상반기(1∼6월) 24개 생보사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12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4% 감소했다. 손보사도 상반기 순이익이 1조48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5% 줄었다.

보험사의 실적이 나빠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지속되는 금리 하락 추세가 가장 큰 고민이다. 금리가 하락하면 보험사의 자금 운용 수익률이 낮아진다. 특히 확정 고금리 상품을 많이 팔아놓은 생보사들의 경우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보험금은 그대로인데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역마진이 발생하고 있다. 2022년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이 시행되면서 보험 부채(미래에 고객에게 지급할 보험금)를 현재 금리 수준, 즉 시가로 평가해야 하는 것도 보험사들의 부담이다. 현재 금리가 낮아진 만큼 보험사의 부채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가령 10년 뒤 보험금 1억 원을 지급해야 할 때, 금리 3.5%를 기준으로 하면 7089만 원을 적립하면 되지만 금리가 3.0%로 낮아지면 그보다 많은 7440만 원을 쌓아야 한다.

손해보험사들은 갈수록 사업성이 악화되는 실손보험과 자동차보험 때문에 비상이다. 가입자 반발을 우려한 당국의 눈치를 보느라 보험료를 충분히 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험금 지출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의 올해 실손보험 적자 규모는 1조7000억 원 선으로 추산되고 있다. 교직원공제회가 더케이손보 매각에 나서게 된 데에도 자동차보험 손해율 급등으로 지난해 105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본 게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 “버티기 어려운 회사 앞으로 계속 나올 수도”

경기 침체와 저출산 등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바뀌면서 보험업의 향후 성장 가능성도 이전보다 떨어졌다는 평가가 많다. 쏟아지는 매물에도 자금력을 지닌 금융지주사들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 이유다. 보험연구원 조영현 동향분석실장은 “2020년 보험산업의 원수보험료 증가율이 0%에 그치는 등 보험산업의 제로 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며 “시장에 매물이 등장하고 있지만 사는 쪽에서는 아직 가격이 높다고 보는 편”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회계기준 강화 때문에 일부 보험사는 버티기 쉽지 않을 수 있다”며 “내년 이후 매물이 더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험회사가 다른 회사에 팔리거나 파산하면 가입자들은 ‘내 보험금을 날리는 것 아닌가’ 하며 불안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개는 관련법과 규정에 따라 자신의 보험금을 지킬 수 있다. 우선 보험사가 다른 회사에 합병되면 보험계약이전 제도에 따라 새로운 회사가 이 계약을 넘겨받게 된다. 다만 계약 내용이 두 회사 합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보험사가 파산하는 경우엔 은행 예·적금처럼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가입자 1명당 5000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다.

장윤정 yunjung@donga.com·조은아 기자
#생명보험#손해보험#m&a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