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칼럼 따라잡기]중국발 초미세먼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2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매년 겨울 빙등(氷燈)축제로 유명한 중국 하얼빈은 2016년 11월 20일 공공난방 공급 첫날 초미세먼지(PM 2.5) 농도가 m³당 500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 일부 지역은 1000μg을 넘어 ‘최악의 오염 도시’라는 오명도 얻었다. 가시거리가 10m 미만으로 신호등이 안 보여 사고가 속출하고 초중고교는 휴교했다. ㉠한국의 초미세먼지 기준 농도는 나쁨이 36∼75, 매우 나쁨이 76 이상이다. 베이징, 선양, 톈진 등은 겨울철에 200 혹은 300을 넘기는 경우가 다반사다. 진작부터 ‘우마이’(미세먼지)와 전쟁을 벌여온 중국은 도시별 발생원과 이동 경로에 초점을 맞춘다. 그런데도 한국으로 넘어가는 미세먼지 조사는 뭉그적댔다. 20여 년 전부터 이 문제가 논란이 됐지만 중국발 먼지가 한국에 간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국립환경과학원은 11월 20일 2017년 연평균 중국발 초미세먼지의 한국 내 3개 도시(서울 대전 부산)에 대한 영향이 32%라는 한중일 공동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일 연구자들은 35%, 중국은 26%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중국이 구체적인 숫자로 ‘오염 기여’를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의미가 있지만 한국이 오랜 기간 공동 조사를 요구한 것을 감안하면 이런 ‘만만디’(행동이 굼뜨거나 일의 진척이 느림을 이르는 말)가 없다.

대기오염 물질은 국경을 넘어 흘러 다닌다. ‘아시아 먼지(Asian dust)’라고 불리는 중국 타클라마칸 사막의 황사가 지상 8∼10km 상공에서 13일 만에 지구를 한 바퀴 돌고 지구 곳곳에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오래전 국제 과학잡지에 게재됐다. 중국발 미세먼지도 예외가 아니다. 편서풍을 타고 태평양을 건너 미국 서부 해안에 도달해 악명 높은 ‘LA 스모그’에도 기여한다는 미국 내 보도가 수두룩하다. 베이징대와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등은 중국 대기오염 물질이 미 서부에 얼마나 유입되는지 계량화(어떤 현상의 특성이나 경향 따위를 수량으로써 표시함)하는 연구도 진행했다.

올 3월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 미세먼지가 중국에서 왔다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렇게 자신 있게 부인한 것은 태평양도 건너는 미세먼지가 한국만 건너뛴다는 확신이라도 있었던 것인지 모르겠다. 이번 조사에선 관심이 높은 고농도 시기(통상 12∼3월)도 산출할 수 있었지만 중국의 반대로 뺐다고 한다. 환경부는 이 시기 국외 영향을 60∼80%로 보고 있다. 미흡하나 ㉡시작이 반이다.

동아일보 11월 20일자 구자룡 논설위원 칼럼 정리

칼럼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을 읽고 다음 중 사실과 맞지 않는 것을 2개 고르세요.

①초미세먼지 기준 농도는 75를 초과해야 매우 나쁨 수준이구나.

②초미세먼지 기준 농도는 75 이상이어야 매우 나쁨 수준이구나.

③초미세먼지 기준 농도가 76 미만이면 매우 나쁨 수준이 아니구나.

④초미세먼지 기준 농도가 76 이하면 매우 나쁨이 수준이 아니구나.

2. ㉡은 무슨 일이든지 시작하기가 어렵지 일단 시작하면 일을 끝마치기는 그리 어렵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시작이 반’이라는 문구를 활용해 짧은 글짓기를 해보아요.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
#중국발 초미세먼지#대기오염#아시아 먼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