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백의 발상의 전환]<17>눈에서 뇌로: 도시의 밤을 밝힌 개념미술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5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김영진 작가
일러스트레이션 김영진 작가
도시의 밤을 장식하는 건물의 대형 전광판은 소비사회의 상징이다. 구매자의 시선을 1초라도 더 끌기 위한 다양한 광고는 자극적이고 그 전략은 기발하다. 화려한 스펙터클에 이끌린 대중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 지갑을 연다. 이들의 각축전이 만들어내는 빛의 향연으로 대도시의 밤은 잠들지 못한다. 런던의 피카딜리 서커스, 도쿄의 시부야, 그리고 맨해튼의 타임스스퀘어 등 도시의 밤은 눈을 유혹한다.

제니 홀저(Jenny Holzer)의 작업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지켜줘(Protect Me From What I Want)’(1982년·그림)는 이러한 도시 발광다이오드(LED) 작업들 중 대표적이다. 이 미디어아트 작업은 맨해튼 타임스스퀘어 건물의 광고 스크린에 2주 동안, 매일 밤 50차례 이상 반복되었다. 강렬한 빛과 움직이는 문구 그리고 그 독특한 의미는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건물의 LED 전광판에 상품 광고가 아닌, 순수 미술작품이 전시된다는 발상 자체가 낯설고 신선했다. 전시를 위해 드는 비용은 공공미술펀드(Public Art Fund)가 지원했다.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하나로 실행된 이 작업은 상업 갤러리를 벗어나 도시 한복판에서 수천 명의 눈과 뇌를 사로잡았다. 강렬한 빛으로 전달된 문구는 행인들의 머리에 각인되었다. 그것은 스스로의 욕망을 통제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다. 시의성 있는 성찰이 요구되는 내용으로 관람자의 뇌와 교감하는 그의 LED 문구들은 개념미술이다.

많은 사람들이 단번에 목격할 수 있는 것이 전광판의 장점이다. 홀저는 이러한 매체적 특성을 이용해 대중의 소비 욕망을 반추하고 자제하도록 촉구했다. 그는 개인과 사회에 대한 예리하고 핵심적인 코멘트를 서슴지 않는다. ‘진실 어구(Truisms)’라 명명한 그의 문구는 냉소적이고(‘이기심은 가장 기본적인 동기부여다’), 신랄하고(‘낭만적 사랑은 여성들을 조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때로는 도덕적이다(‘당신은 대체로 자신의 일이나 신경 써야 한다’).

홀저의 텍스트 작업은 현란한 광고 이미지로 지갑과 더불어 머리도 가볍게 만드는 자본주의 소비사회에 일침을 가한다. 그런 날카로운 비판의 문구가 바로 그 소비사회의 광고 스크린을 통해 아름답고 현란하게 전시되었기에, 그의 작품은 더욱 통쾌하고 역설적이다.

전영백 홍익대 예술학과(미술사학)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