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구의 옛글에 비추다]선물과 뇌물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처음 권관(權管)이 되었을 때, 활집이 매우 아름다웠다.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이 사람을 보내 이를 빌리고자 하니, 충무공이 거절하면서 “이것은 빌리자는 말인가, 바치라는 말인가(此借之云乎, 納之云乎?)” 하였다. 서애가 전해 듣고 기특하게 여겨 비로소 발탁할 뜻을 품게 되었다.

윤기(尹<·1741∼1826) 선생의 ‘무명자집(無名子集)’ 문고(文稿) 제12책의 ‘정상한화(井上閒話)’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권관(權管)은 각 진(鎭)에 속한 무관으로 종 9품의 낮은 벼슬입니다. 일개 무관이 인사권을 쥔 고관에게 감히 이렇게 말하다니 그 기개가 놀랍습니다. 게다가 이를 기특하게 여겼다는 고관의 아량은 더욱 놀랍습니다. 윤기 선생은 이에 대해 “지금의 풍속으로 말한다면 충무공은 반드시 활집을 바쳐서 친해지려 했을 것이고, 서애는 반드시 노하여 배척했을 것이다(以今俗言之, 忠武必欲納此而得親, 西厓必恨怒而斥絶矣)” 하였습니다. 보통의 사람은 대부분 이럴 테니 그래서 두 분이 더 특별합니다. 연관되는 이야기 하나 더 봅니다.

풍원군(豊原君) 조현명(趙顯命)이 영의정이 되었을 때, 영변부사(寧邊府使)가 재상들에게 이엄(耳掩·담비 가죽 등으로 만든 귀마개)을 선물하면서 다른 물건도 매우 많이 보내 주었는데, 풍원군은 다른 물건과 함께 모두 물리쳤다. 나중에 비변사의 모임에서 재상들이 모두 새 이엄을 쓰고 있는 모습을 본 풍원군이 “공(公)들의 이엄이 참 좋군요. 영변에서 보내준 것이오”라고 물으니, 모두 그렇다고 대답하였다. 풍원군이 “나는 받지 않았다오” 하자 여러 사람들이 모두 돌려주었다. 영변부사는 끝내 등용되지 못하였다.

윤기 선생은 이에 대해 “오늘날은 보내 주는 물건이 풍족하지 않은 것만 한탄하여, 풍족하면 등급을 건너뛰어 자리를 옮겨 주고, 아니면 배척하여 내친다. 이것을 제 몸을 살찌우는 수단으로 삼고, 존귀한 사람에게 아첨하는 도구로 삼으며, 벼슬에 오르는 계책으로 삼는다. … 옛사람이 이르기를 ‘백성의 고혈(膏血)을 어찌 이처럼 함부로 쓴단 말인가’ 하였으니, 재상이 된 자가 어찌 이를 생각지 않는가” 하였습니다. 시대가 달라도 사람 사는 이치는 한가지일 텐데, 뇌물 바치는 이야 요즘도 흔하겠지만 받는 이 중에 저런 분들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충무공#이순신#유성룡#윤기#무명자집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