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희의 ‘광고 TALK’]<59>“뜨개질을 하자”

  • Array
  • 입력 2012년 9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동아일보DB
동아일보DB
언제부터 사라졌는지 우리 주변에서 뜨개질하는 모습을 보기 어렵게 되었다. 부산 해운대구의 ‘뜨개질 봉사단’이 눈길을 끈다. 해외 빈곤국의 저체온증 신생아들을 살리려는 봉사활동 자체도 중요하지만, 뜨개질로 모자 300개를 만들어 보내기로 했다는 그 방법이 더 인상적이다. 비정부기구(NGO)인 세이브더칠드런의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도 중요한 봉사 수단이 뜨개질이다. 최근 들어 뜨개질이 부활하는 것 같아 반갑다.

태광산업의 비둘기표 엑쓰란 혼방사 광고(동아일보 1968년 8월 29일)는 “이건 내 솜씨예요!”라는 헤드라인에 털실 스웨터를 제시하고 있다. 광고에 제시된 스웨터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한 요즘 스웨터에 비해 결코 손색이 없다. 사람의 머리 부분을 털실 뭉치로 묘사하고 실타래를 풀어 머리카락이 날리는 듯이 연출한 점도 인상적이다. “온 가족의 옷을 정성들여 짠다는 것은 주부들의 보람차고 즐거운 일일 것입니다. 당신의 행복 가족의 행복을 비둘기표 엑쓰란 혼방사로 짜 보세요”라는 보디카피에서 전통적인 주부상을 엿볼 수 있다.

혼방사(混紡絲)란 성질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섬유를 한데 섞어 만든 실이다. 여성들은 그 실로 뜨개질을 했다. 옷 살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여성들의 보편적 취미였기에. 효율성으로만 따지자면 뜨개질처럼 비효율적인 것도 없다. 틈틈이 바쁘게 손을 놀려 스웨터나 목도리를 뜨지만 완성하기까지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뜨개질을 효율로만 평가할 수 없다. 누군가 애인을 생각하며 뜨개질을 했다면, 그건 옷을 뜬 게 아니라 사랑을 뜨개질한 것이다. 실종된 남편 오디세우스를 기다리며 날마다 낮에 짰던 천을 밤이면 다시 풀어버렸던 페넬로페처럼.

뜨개질은 손의 촉감을 높이는 손재주 개발에도 좋다고 한다. 스마트 미디어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인간의 오감 중에서 손의 촉각을 섬세하게 반영해 만들었다. 여러 휴게 공간에서 시간이 남을 때 스마트폰만 만지작거리지 말고 뜨개질을 해보는 건 어떨까? 가장 비효율적인 뜨개질이 가장 효율적인 성찰의 시간을 만들어 줄지도 모른다. 이어령 선생이 말한 ‘디지로그’도 이런 맥락이 아니겠는가.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뜨개질#태광산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