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희의 ‘광고 TALK’]<50>오케스트라의 악기

  • Array
  • 입력 2012년 8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동아일보DB
동아일보DB
봄이 오는 길목이나 가을의 문턱에 접어들면 이런저런 교향악 축제가 열린다. 이제 시도별로 교향악단도 늘어나 음악을 사랑하는 이라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아름다운 선율에 빠져들 수 있다. 음악을 몰라도 사는 데 문제는 없겠지만 음악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인생의 행복 하나를 건너뛰는 격이다. 특히 교향악은 우리에게 내면의 소리를 듣게 해준다. 해방 후 어수선한 시국에서도 교향악이 연주되었다.

고려교향악단의 정기연주회 광고(동아일보 1948년 2월 20일)에서는 “해방 이래(爾來·이후) 꾸준히 교향악 운동에 매진하는 조선 유일의 고려교향악단”이라는 헤드라인 아래 연주회 곡목을 명시했다. ‘모-찰트(모차르트) 저녁’이라는 연주회의 주제에 알맞게 쮸피터(주피터) 교향곡, 봐이올린(바이올린) 협주곡, 마적(魔笛·마술 피리) 서곡, 피가로의 결혼 서곡을 연주한다는 내용이다. 바이올리니스트 안병소 선생(1908∼1979)이 지휘를 맡았다. 광고에서는 그를 “오랜 침묵을 깨트리고 감연(敢然·과감)히 나선 우리 악단의 지보(至寶·지극히 귀한 보물)”라고 소개했다.

고려교향악단(高麗交響樂團)은 1945년 9월 15일 현제명의 주도로 창단했다가 1948년 들어 제26회 정기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그러니까 이 광고에서 알린 연주회는 악단을 해체하기 직전에 이루어진 셈이다. 그 후 서울교향악단으로 이어졌고 6·25전쟁 중에는 해군정훈음악대가 되었다가 나중에 서울시립교향악단이 되었다.

심포니 오케스트라 공연에 갈 때마다 악기마다 쓰임새가 따로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관객 입장에서 보면 바이올린이나 첼로 같은 현악기 연주자는 거의 쉴 틈 없이 연주하니까 가장 많은 출연료를 받아야 할 것 같다. 피콜로나 플루트 같은 목관악기 연주자와 호른이나 트럼펫 같은 금관악기 연주자가 그 다음. 팀파니나 심벌즈 같은 타악기 연주자는 가장 적게 받아야 할 듯하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안 된다. 결정적 순간에 쨍 하고 울리는 타악기가 제몫을 못하면 공연에 실패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운명도 악기와 같지 않을까? 바빠야 제몫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평상시에는 노는 것 같지만 한순간의 결정적 역할로 제몫을 톡톡히 해내는 사람도 있으니까.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고려교향악단#정기연주회#오케스트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