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반환 D-7/美-日시각]『변함없는 무역거점』낙관

  • 입력 1997년 6월 24일 08시 10분


미국과 일본은 중국이 홍콩반환이후 「일국양제」(一國兩制·사회주의체제하에 자본주의인정)방침을 밝히고 있지만 정치 사회적으론 제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으론 현재의 시장경제가 크게 위축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반환후 홍콩의 장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는 미국내에서 보수 진보 세력간 치열한 논전의 대상이 되고있다. 보수적 싱크탱크인 헤리티지 재단은 중국이 자신의 체제 내 모순으로 홍콩의 정치적 자유를 보장할 수 없을 것이라며 대중(對中)압력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반면 브루킹스 연구소 등 진보 진영은 중국이 대만을 평화적인 흡수통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선례가 될 홍콩의 정치적 경제적 자유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클린턴 행정부도 정치적 측면에서는 중국이 홍콩에 민주주의를 보장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갖고 있다. 클린턴 대통령이 22일 8개국 정상회담이 끝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치 경제적 자유를 후퇴시키지 말라』고 경고하고 『홍콩에는 활기차고 개방적인 사회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미국의 홍콩이익은 대 중국과의 경제관계이며 따라서 무역관계에도 큰 변화가 없을 것을 희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그렇게 예상하고 있다. 홍콩주재 1천1백여개의 미국기업이 그대로 잔류키로 한 것은 그 대표적인 예다. 더구나 홍콩은 미국과 중국간 거래되는 물동량의 절반이상을 중계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도 무역 거점으로서 홍콩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할 필요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미국측은 파악하고 있다. 일본도 홍콩반환후 정치적 자유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환경은 별로 나빠지지 않고 오히려 투자엔 유리할 수도 있다는 견해가 강하다. 최근 일본 정부 대변인인 가지야마 세이로쿠(梶山靜六)관방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반환 후에도 홍콩의 자유와 기본권이 보장되길 기대한다』는 말을 되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정부와 기업측은 홍콩의 경제사정은 반환후에도 별로 나빠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언론들도 한결같이 「경제발전을 최우선시하는 중국 정부가 경제적 측면의 현상유지로 효과를 극대화하려 할 것」으로 예상한다. 오히려 중국측이 투자촉진을 위해 외국계 기업에 대한 유인책을 쓸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다. 설사 경제환경이 다소 달라지더라도 홍콩에 진출한 일본 기업은 제조업보다 금융기관 비중이 훨씬 크기때문에 일본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워싱턴〓홍은택·동경〓권순활 특파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