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지원용 종자 5t 저장-양묘장 확충… ‘녹색통일’ 2015년 더 속도낸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2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나무 한 그루, 푸른 한반도]
산림청, 民-官-국제기구 협력 확대

북한 함경북도 무산시 인근의 황폐화된 야산. 개발과 벌채로 나무 한 그루 자라지 않는 민둥산이 됐다. 산림청 제공
북한 함경북도 무산시 인근의 황폐화된 야산. 개발과 벌채로 나무 한 그루 자라지 않는 민둥산이 됐다. 산림청 제공
북한 산림 복구와 남북 산림 협력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의 사업이 올해에는 더욱 활발하게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산림청 등에 따르면 올해 남북 협력 사업 재개에 대비해 민간단체 및 국제기구를 통한 산림 협력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 ‘녹색 통일’은 정치 논리에서 벗어나야

정부가 경색된 남북 관계에도 불구하고 북한 산림 문제를 해결하려고 나서는 것은 이 문제만큼은 정치 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 정도는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08년부터 인공위성을 통해 북한 산림을 분석한 결과 전체 산림 면적(899만 ha) 중 32%인 284만 ha가 민둥산이다. 연료 부족으로 무분별한 벌채가 이뤄졌고, 식량 부족으로 웬만한 산이 계단밭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방제 약품이 부족해 병해충이 기승을 부리는 것도 민둥산을 만든 원인으로 꼽힌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맞닿아 있는 남한에도 피해를 주고 있다. 상류인 북한 지역 산림자원이 황폐화되면 홍수 유발의 원인이 되고 결국 하류인 남한 지역엔 더 큰 피해를 줄 우려가 나오는 것. 병해충이 방제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남한으로 유입되는 부작용도 발생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황폐화된 북한 산림을 복구하는 데는 32조1172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복구 시간이 늦어질수록 복구 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나 통일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 산림청은 국제 및 민간기구 협력 지속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3월 독일 드레스덴에서 북한 지역에 농업, 축산, 그리고 산림을 함께 개발하는 ‘복합 농촌 단지’ 조성을 제안한 데 이어 8월 제69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하천과 산림의 공동 관리를 제안하기도 했다. 또 남북이 함께 산림을 조성하고 필요한 종자를 교환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도 지난해 11월 평양 순안중앙양묘장을 시찰하면서 산림 황폐화 문제를 시인하고 산림 복구를 위한 나무 심기 운동에 대대적으로 나설 것을 지시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지시가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본다. 식량난과 에너지난 등 총체적인 위기 상황에 몰려 산림 복원은 후순위로 밀려 있는 탓이다.

산림청은 박 대통령이 제안한 ‘그린 데탕트’ 및 ‘복합 농촌 단지 조성’ 추진을 위한 산림 분야 사업을 발굴해 왔다. 2013년에 조성된 강원 대관령 양묘장을 통해 대북 지원용 묘목 13만 그루를 생산한 데 이어 대북 지원용 양묘장 3곳을 2017년까지 추가 조성키로 했다.

또 남북 산림 협력 기반 마련과 이행을 전담할 ‘북한 산림 복구 사업단’을 구성한 데 이어 겨레의 숲, 아시아녹화기구, 평화의 숲, 동북아산림포럼 등 15개 민간단체가 참여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산림청은 올해 국제기구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간 협력을 통한 효율적인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북한의 황폐지 조림을 위한 종자 5t을 채취해 저장하기로 했다. 이미 조성된 대관령 산간 양묘장 등을 활용해 현지 적응력이 강해 토사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종 이외에 밤나무 블랙초크베리 등 북한이 선호하는 유실수 양묘도 확보할 예정이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대북 사업 또는 국제회의 경험이 있는 국제기구와 민간단체 등을 통해 북한 전문가 초청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하고 전문 인력 양성 교육, 산림 조사 등 북한 산림을 조성하기 위한 새로운 사업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대북지원용#녹색통일#산림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