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예술’ 국내 원로 배우, 성장기부터 임종까지 모든 것 기록”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18일 16시 53분


코멘트

한국문화예술위 예술자료원 김현옥 학예사 인터뷰

“원로 배우의 성장기부터 임종을 앞두고 남긴 말씀까지 다양한 발언과 자료들을 기록합니다. 이 기록들이 언젠가는 후대 예술인들에게 귀중한 자산이 될 테니까요.”

국내 무대 위에서 벌어진 모든 것들을 기록하고 모으는 이가 있다. 원로 배우, 연출가, 무대 제작자를 만나 직접 이야기도 듣고, 때론 이들이 남긴 작은 메모부터 대본까지 다채로운 기록물을 모은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김현옥 학예사(44)는 “해외에선 이미 공연 세부 분야별 기록관이 있을 만큼 관련 기록물을 중시하고 있다”며 “작은 자료도 후대 공연예술인들에겐 가장 큰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학예사는 1세대 공연기록 수집가다. 원로 예술인들을 인터뷰해 구술채록 자료를 만든다. 또 악보나 대본, 무대 의상 스케치 등도 모아 작품별, 시대별로 분류한다. 최근엔 자료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형해 저장하는 일도 맡았다. 현재 예술자료원에선 예술인 300명의 구술채록 기록을 포함해 7~8만 점의 기록이 남아있다.

그가 가장 공을 들이는 작업은 구술채록이다. 원로예술인 한명 당 7~8회씩 만나 10시간 이상 함께 하며 그가 남긴 진솔한 말들을 기록하는 게 포인트다. 이를 나중에 접한 독자가 예술인의 신념과 생애를 통해 작품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김 학예사는 “예술가와 오래 대화한 끝에 나온 기록에서 예술가의 인간적인 면을 엿볼 수 있는 게 구술채록 자료의 매력”이라며 “같은 예술가라도 누구와 어느 시기에 작업했는지에 따라 작품의 특징이 달라지는 등 구술채록에서 발견할 수 있는 포인트가 많다”고 귀띔했다.

김 학예사가 만난 많은 근·현대 예술가들의 모습은 대중에 알려진 바와 많이 달랐다고 한다.
“전위예술의 대가인 무세중 선생님의 경우 늘 ‘내가 최초’ ‘독보적 존재’라고 뽐내는 모습이 알려져 있었죠. 근데 그가 성장 과정에서 겪은 부성, 모성에 대한 애착이나 우리나라에서 추방 받았던 이야기를 듣고 나니 그동안 선생님이 ‘내가 모든 걸 처음부터 다했다’고 말하는 행동이 당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편견이 많이 깨졌죠.”

이 밖에도 50년이 넘은 극단 ‘자유’의 이병복 무대미술가, 김정옥 연출가, 박정자 배우는 극단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점이 모두 제각각 달랐다.

연간 공연되는 작품만 2만여 편인 요즘, 김 학예사에겐 아쉬운 점도 있다. 물리적으로 모든 공연을 다 기록할 수 없기에 대형 뮤지컬, 연극보다는 소규모 작품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는 “당장 성과가 드러나는 일이 아니지만, 아무리 작은 무대라도 국내 곳곳에서 벌어졌거나 진행 중인 한국 공연예술의 단면을 촘촘하고 끈질기게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윤기자 pep@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