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박선희]나르시시즘 산업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선희 소비자경제부 기자
박선희 소비자경제부 기자
화려한 스튜디오 안, 이브닝 드레스와 턱시도로 멋을 낸 예비 부부가 포즈를 취할 때마다 플래시가 터진다. 메인 사진작가가 움직일 때마다 촬영 현장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담아내는 스냅 작가의 손놀림도 바빠진다. 스냅 작가의 임무는 말 그대로 현장 속 커플 모습을 ‘순간 포착’해내는 것이다. 메인 작가가 화보에 들어갈 정형화된 사진을 찍는다면, 스냅 작가는 촬영을 잠시 쉴 때의 장난기 넘치는 모습, 화장을 고치거나 귀걸이를 바꾸는 모습을 훔쳐보듯 찍는다. 물론 연예인 파파라치 컷처럼 근사하게.

요즘 커플들은 이런 파파라치 컷 형식의 스냅 사진을 무척 중시한다. 그래서 기성세대가 아는 일반적인 웨딩 촬영과 별도로 새벽에 미용실에 들러 메이크업을 받는 모습, 리무진에 오르는 장면 등을 자연스럽게 찍어줄 스냅 업체를 여러 곳 고용한다. 비용이 회당 50만∼100만 원을 호가해도 인기 업체들은 예약이 밀려 있다. 신혼여행에서는 현지 스냅 작가를 또 섭외한다. 이국적인 곳에서의 달콤한 한때(데이트, 쇼핑 장면 등)를 전문가의 손을 빌려 완벽히 남기기 위해서다. 커플은 플래시 세례 속에서 특별한 인생의 주인공임을 확인받는다. 이런 사진들은 물론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바로 올려진다.

‘오직 이때뿐’이란 환상을 이용해 웨딩산업 자체가 자기애를 극대화시키는 측면은 있다. 그런데 재밌는 건 이게 겨우 시작일 뿐이란 점이다. 이렇게 결혼한 이들은 임신하면 똑같은 방식으로 만삭 화보를 찍고, 출산 후엔 성장 화보, 돌 스냅을 찍는다. 해외 휴가지에서의 사진을 전담으로 찍어주는 스냅 업체를 고용하는 평범한 사람도 늘고 있다.

‘파파라치 컷’을 당사자가 돈을 주고 의뢰해 찍는, 어떻게 보면 상당히 모순적인 행동은 최근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는 나르시시즘 소비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한두 자녀 가정에서 과잉 보호를 받으며 자란 자의식 강한 젊은 세대들은 불안을 감추고 나르시시즘을 강화하기 위해 화려한 아바타를 내세운다. 유행하는 고가 브랜드 소비나 SNS에 화려한 (혹은 그렇게 의도된) 일상을 생중계하는 것으로 특별해지고 싶다는 욕망을 충족시킨다. 경제학자 토드 부크홀츠가 말하는 ‘아바타 세대’들이다.

이 틈을 타고 나르시시즘 산업은 계속해서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노페’에서 ‘캐몽’으로 해마다 아이템만 바뀔 뿐 되풀이되는 사치품 집단 유행이나 급성장 중인 ‘의뢰형 파파라치 산업’ 등이 모두 그런 예다. 욕망이 산업을 키우고 상술이 욕망을 다시 자극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진화심리학자 제프리 밀러는 ‘스펜트’에서 모두 나를 의식하고 있을 것이란 환상, 내가 소유한 것들이 나의 취향과 지위를 설명해준다는 착각이 나르시시즘 소비를 유발하는 현대 소비주의의 허상이라고 지적한다. 평범한 소비자들까지 나르시시스트가 되도록 충동질하는 ‘고삐 풀린 소비주의’와 ‘아바타 세대’의 만남이 자못 위태롭게 느껴지는 이유다.

박선희 소비자경제부 기자 tell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