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산업 님비[횡설수설/우경임]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7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강원 춘천시 구봉산 자락 카페거리는 춘천 시내 전경을 볼 수 있는 명소다. 축구장 7배 규모(5만4229m²)라는 네이버 1호 데이터센터 단지도 조망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원유로 통하는 데이터는 모이고 쌓일수록 양질의 원유가 된다. 구글 MS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앞다퉈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는 까닭이다.

▷지난달 13일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된 경기 용인시 네이버 2호 데이터센터 설립 계획에 최근 며칠 사이 반전이 일어나고 있다. 군산 의정부 인천 파주 포항 등이 센터 유치를 위해 물밑 경쟁에 나선 데 이어 어제 백군기 용인시장도 “새 부지로 아이들이 영향받지 않는 3, 4곳을 물색하고 있다. 네이버와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용인시가 (네이버와 주민 간) 중재 역할을 다하지 못해 아쉬웠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센터는 구축비용만 5400억 원이라니 지역에선 탐낼 만하다. 하지만 주민들은 학교 인근에 세워질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할 전자파를 우려했다. 서버를 식히는 냉각수의 수증기도 문제가 됐다. 네이버는 1호 데이터센터의 사례를 들어 검출된 전자파가 일반 가전제품 수준이고, 냉각수 수증기도 수돗물 수증기와 같다는 자료를 제시했지만 설득에 실패했다. 요즘은 데이터센터를 둘러싼 갈등만이 아니다. 5G 시대가 열렸으나 통신사의 새 기지국은 전자파 공포로 곳곳에서 설치가 지연되고 있다. 이른바 신(新)산업 님비(NIMBY·Not In My Backyard) 현상이다.

▷우리 사회에 본격적으로 님비가 나타난 것은 1990년대부터다. 지방자치가 시작되면서 주민의 목소리가 커졌고, 환경에 대한 감수성도 높아졌다. 원자력발전소, 핵폐기물 처리장, 쓰레기 소각장·매립장 부지 선정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임대주택, 장애인학교 및 시설 등 사회적 약자와 분리하려는 현상이 생겨났다. 그 대상과 정도를 달리할 뿐 새로운 형태의 님비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새 기술이 등장할 때 동반되는 대중의 두려움을 무조건 님비라고 손가락질할 수 없다. TV·전자레인지 전자파 유해 논란이 한창일 당시 소금물이나 선인장을 옆에 두기도 했다. 그런 두려움이 전자파 감소의 기술 발달도 이끌었다. 다만 막연한 불안이나 실체 없는 공포심에 휘둘려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기업은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신뢰를 쌓고 정부 등은 주민 참여를 통한 의사 결정의 투명성을 확보할 때 소모적인 갈등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우경임 논설위원 woohaha@donga.com
#신산업#님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