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권지예의 그림읽기]쌍무지개는 볼 수 없어도

  • Array
  • 입력 2012년 6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존 에버렛 밀레이 ‘눈먼 소녀’, 1856년.
존 에버렛 밀레이 ‘눈먼 소녀’, 1856년.
길을 가던 두 소녀가 들판의 밭둑에서 잠시 쉬고 있는 중입니다. 비가 그친 하늘에는 쌍무지개가 떴군요. 아마도 자매로 보이는 남루한 행색의 두 소녀 중 언니는 맹인입니다. 어린 동생은 언니의 눈을 대신해 보필하느라 언니 손을 꼭 잡고 있네요. 언니의 치마폭에 아코디언처럼 보이는 악기가 놓인 걸로 보아 거리의 악사가 아닐까 싶네요. 어린 소녀는 고개를 돌려 쌍무지개를 정신없이 보고 있지만 맹인인 소녀는 그저 눈을 감은 채 앉아 있군요. 세상이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깜깜하다면…? 밤이나 낮이나 그저 검은 어둠뿐이라면? 누구에게나 상상하기 싫은 두려움이겠지요.

몇 년 전에 본 전시가 생각나네요. ‘어둠 속의 대화(Dialogue in the dark)’라는 전시였지요. 한마디로 말하자면 일상의 현실에서 완전한 어둠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였습니다. 어떤 가느다란 빛도 없는 칠흑 같은 어둠 속의 전시장으로 들어서면 눈을 떠도 감아도 보이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현기증이 느껴질 정도의 빽빽한 어둠, 제 존재마저도 어두운 심연으로 빨아들이고야 말 것 같은 예측할 수 없는 막막한 공간에 시각장애인용 케인 하나만 손에 쥐여졌습니다. 저는 완벽한 시각장애인이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자 소리들이 저를 공격했습니다. 새소리, 차소리, 사람소리…. 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일상의 모든 소리들은 순간 의심과 공포 그 자체였습니다. 저는 전시장에 괜히 들어왔다고 잠시 후회하게 되었습니다. 지팡이를 더듬거리며 허공을 향해 손을 휘두르며 두려움에 떨고 있는데 저쪽에서 가이드 아가씨의 낭랑한 목소리가 한 줄기 샘물처럼 제게로 흘러들었습니다. 얼마나 기쁘던지요. 그러나 소리 나는 곳이 정확히 감지되지 않아 저는 하마터면 다리 밑으로 빠질 뻔했어요. 마침내 혼자 서투르게 보행을 하며 도심의 차도를 지나고, 숲 속 공원도 지나고, 시장에 들러 물건도 사고, 카페에 가서 차도 주문해 마셨지요.

그러나 그렇게 ‘성공적인 일상’을 살아내게 되기까지 제 속에서는 얼마나 많은 갈등과 감정들이 교차했는지 모릅니다. 어둠을 받아들이자마자 저는 모든 건 눈을 똑바로 떠야만 볼 수 있다는 제 편견과 오만을 포기했습니다. 그러자 제 온몸의 감각이 새록새록 살아났습니다. 시력을 대신할 수 있는 청각과 제 인식에 확신을 주는 촉각이 살아났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제가 이 어둠 속에서 주어진 현실 속의 상황을 성공적으로 잘 수행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이 서서히 주어졌습니다. 그것은 저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 가이드가 “힘내세요. 할 수 있어요!”라고 용기를 주고 제가 그녀를 전폭적으로 신뢰하는 데서 오는 힘이었습니다. 우리는 서로의 얼굴도 모른 채 숲 속의 벤치에서 만나 잠시 쉬면서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저는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삶의 의욕과 희망을 잃지 않고 열심히 씩씩하게 살아가는 가이드 학생이 너무도 사랑스러웠습니다. 그 친구를 믿어버리자 두려움이 없어졌습니다. 제 발걸음에 자신이 붙었습니다. 온몸과 마음이 눈이 되어 옆에 있는 사람의 따뜻한 마음이 훤히 보이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서로 용기를 북돋우며 배려해주며 전시장을 무사히 나온 후 그 학생과 서로 뜨겁게 안고 헤어졌습니다.

보이지 않아도 볼 수 있는 소중한 것들이 얼마든지 있다는 걸, 장애우들에겐 무엇보다도 사람들이 그들에게 주는 신뢰나 따뜻한 마음이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를 절절하게 깨달았습니다. -끝-

권지예 작가
#작가 권지예의 그림읽기#미술#눈 먼 소녀#멀레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