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속의 심리학]공포물의 괴물-살인자

  • 입력 1999년 5월 30일 18시 09분


여름만 되면 어김없이 극장에 찾아오는 손님이 있다.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으스스한 공포영화들. 대다수의 관객들은 공포영화를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봐버리는, 이율배반적인 미묘한 구경심리 때문에 갈등을 느끼기 마련이다. 70년대까지만 해도 공포영화는 애들이나 즐기는 싸구려 영화로 취급받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영화평론에 정신분석이 도입되면서 뜻밖에 조악한 영화로 여겨졌던 공포영화에 많은 심리학적 작용과 사회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예컨대 공포영화의 심리적 기능에는 ‘억압된 것의 귀환’이 있다고들 한다.이게 무슨 뜻일까?

흔히 공포영화는 악몽과 비슷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공포영화의 밑면에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억압한 욕망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받아들이기 힘든 원초적인 욕구, 흔히 성적인 공격욕 등을 무의식으로 내리누름으로써 건강한 자아를 유지하려 한다. 그러나 억눌린 욕망은 힘껏 눌려진 용수철처럼 여러가지 형태로 의식의 표면으로 나타나려는 경향을 갖고 있다.

그 한 방법은 자신의 무의식적 욕망을 ‘내 것’이 아니라 ‘남의 것’이라고,즉 내가 아닌 타자에게 투사하는 길이다. 공포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괴물이나 살인자는 사람들의 공격 욕망이 투사된 타자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포영화를 거꾸로 읽으면 그 시대나 사회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지, 혹은 심리적으로 억압된 욕망이 무엇인가가 보인다.

예컨대 한국에는 유난히 여자 귀신영화가 많다. 이는 전통적으로 순결이나 남아선호사상같은 가부장의 굴레로인한 심리적인 억압이 한국여성들사이에서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현상으로볼 수 있다.

최근 과중한 공부와 학교생활의 갈등 등 심각해진 교육제도의 문제로 고통받는 여학생이 귀신이 되어 나타나는 ‘여고괴담’같은 공포영화가 히트를 쳤고 곧 2편이 제작된다. 이 역시 그냥 무심히 지나칠 수 없는 하나의 사회적 징후이리라.

심영섭(영화평론가·임상심리학자)kss1966@unitel.co.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