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중심과 만난 기술혁신… 세탁기-냉장고, 국민 삶을 바꾸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2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동아일보 100년 맞이 기획/한국기업 100년, 퀀텀점프의 순간들]
<8> 글로벌 LG 이끈 ‘인화경영’


1926년 19세 소년 구인회는 서울 유학 후 고향인 경남 진주시 지수면 승산마을에 돌아왔다. 서울 중앙고 독서클럽에 가입해 서양 책도 섭렵한 그는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뜬 후였다. 고향에서 일본 상인에 대항해 마을 협동조합을 조직한 그는 값싸게 생필품을 팔아봤다. 동아일보 진주지국장을 맡아 매일 신문을 읽으며 더 큰 세상을 꿈꿨다.

“뭐라고? 유교 집안의 장손이 장사를 한다고?”

시내로 나가 장사를 해보겠다고 하자 집안 어른들은 일제히 반대했다. 하지만 조부는 고심 끝에 손자를 믿어주기로 했다. 부친도 모아놓은 돈 2000원을 내놓고 “네 생각대로 잘 해 보거라. 남과 화목하게 지내며 신용을 얻는 사람이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1931년 부친이 준 2000원에 동생 철회가 조달한 1800원을 얹어 진주시에 포목점인 ‘구인회상점’을 열었다. 유가의 청년이 사업가로 변신하는 순간이었다. 포목점은 훗날 LG그룹 창업의 기반이 됐다.


○ “남이 손대지 않은 것을 해라”


LG그룹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이 포목점에서 배운 것은 고객의 마음을 읽어야 한다는 것, 하나를 팔아도 더 좋은 제품을 팔아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저 옷감을 떼다 팔던 그는 어느 날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손님이 좋아할 만한 수를 놓고 염색을 해보면 어떨까?’ 포목점은 대박이 났다. 기술을 혁신하고 고객 중심으로 생각하는 문화가 LG그룹에 뿌리박히게 된 것도 이때의 경험 덕분이다.

1947년 구 회장은 부산에 락희화학공업(LG화학)을 세우고 럭키크림을 만들었다. 구 회장과 동생들은 일제, 미제 화장품을 넘겠다는 각오로 어렵사리 고급 향료를 구하고, 화장품 기술자를 영입했다.

럭키크림은 인기 만점이었지만 화장품 통이 문제였다. 자꾸 깨져 불량이 났다. 수소문 끝에 플라스틱 관련 서적 6권을 얻어 연구한 구 회장은 1952년 전쟁통에 플라스틱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국민의 생활용품을 차질 없게 만들어 내는 일도 애국하는 길이다. 기업하는 사람으로서 남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업을 성공시킨다는 것이 얼마나 보람 있는 일인가.” 락희화학공업이 만든 플라스틱 빗이 인기를 얻자 주력 품목은 화장품보다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됐다.

다음은 전자제품이었다. “화학이나 잘하라”는 주변 사람들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구 회장은 다시 모험을 감행했다. 1958년 설립한 금성사(현 LG전자)는 1959년 한국 최초의 라디오(금성 A-501)를 만들었다. 부품 국산화율이 60%에 이르는 의미 있는 진전이었다. 이어 한국 최초의 ‘눈표 냉장고’, ‘백조 세탁기’, ‘금성 TV’ 등을 줄줄이 내놓았다. 1967년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19인치 금성 TV를 타깃으로 한 전문 털이범이 등장할 정도였다. 세탁기, 냉장고, TV가 있는 ‘현대식 가정’도 속속 늘어갔
다.

○ 인화와 만난 기술혁신주의

“어깨가 무겁습니다. 집안 어른들의 기대에 부응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1995년 2월 구본무 당시 LG그룹 회장이 동아일보 기자로부터 ‘그룹 총수가 된 소감을 말해 달라’는 질문을 받고 한 대답이다. 당시 재계는 LG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었다. 구자경 명예회장이 정정한데도 70세가 되자 아들에게 회장직을 물려줬기 때문이다. 회사명도 ‘럭키금성’에서 ‘LG’로 바꾸며 글로벌 지향점을 더 분명히 했다.

구본무 회장은 당시 인터뷰에서 초우량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도 “어른들의 뜻에 따라”라는 표현을 자주 썼다. 집무실에는 ‘경청(傾聽)’이라고 쓰인 액자가 걸려 있었다.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면서도 ‘인화’가 우선이라는 점을 늘 새기고 있었던 셈이다. ‘인화’는 창업 이후 꾸준히 내려온 모토다. 1945년부터 허씨 집안과 함께 경영을 하면서 더 필요한 덕목이었을 것이다. 2005년 GS와 계열 분리를 할 때도, 2018년 4세대인 구광모 ㈜LG 대표가 그룹의 새로운 총수가 되었을 때에도 잡음 하나 없었다.

이건희 이화여대 명예교수 등이 쓴 ‘연암 구인회 연구’에 따르면 LG는 창업 초기부터 구씨와 허씨 집안이 함께 1인 3역씩 해가며 사업에 뛰어들어 모두가 창업자라는 마인드가 강했다고 한다. 6·25전쟁 당시 흩어졌던 구씨, 허씨 가족들까지 부산으로 모여들면서 LG의 부산 공장은 가족이 경영자이고 직원이었다.

LG의 전직 고위 임원은 “집안 어른의 집단의사결정 체계 속에 ‘리더’에게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였다”며 “때로는 보수적으로 보이다가도 투자해야 할 곳이 있으면 과감하게 연구개발(R&D)에 투자해 성장 기반을 닦아 왔다”고 말했다.

창업주의 기술혁신주의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LG화학의 자동차 배터리 사업은 1992년 구본무 회장이 R&D를 독려하며 시작됐다. LG디스플레이가 내놓은 세계 최초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지난해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8’을 뒤흔든 돌돌 말리는 롤러블 TV도 혁신의 결과물이었다. 구광모 대표는 총수가 된 직후 첫 공식 행선지로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를 택해 기술혁신주의를 이어갈 것을 선언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
#구인회 회장#lg그룹#인화경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