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멧돼지 전파설 간과?…환경장관 “언론이 잘못보도, 소홀 안했다”

  • 뉴시스
  • 입력 2019년 10월 18일 11시 36분


코멘트

국회 환노위 종합감사 답변…"폐사체 수 증가는 예찰강화 효과"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18일 멧돼지 전파설에 대한 성급한 판단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을 언론 탓으로 돌렸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멧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매개체로 의심하는 것은 합리적임에도 초기에 배제시켜 방역에 실패한 것 아니냐는 여야 의원들의 잇단 지적에 “첫번째 발생지인 파주 주변에서 멧돼지의 서식 흔적을 발견하지 못해 직접적 연관이 없다는 중간발표 한 것을 언론에서 마치 (환경부가) 단언한 것처럼 반복적으로 기사를 내보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두번째 연천 근방에서는 멧돼지가 많이 발견됐기에 역학조사가 더 필요하다고 했다. (멧돼지 대책에) 소홀했다고 여기지 않는다”며 “멧돼지의 농가 접촉과 북한 연관성 등 여러 증거를 발견하기 위해 하천·토양 조사를 했지만 모두 음성이 나왔다”고 했다.

그는 이어 “이달 2일 비무장지대(DMZ) 안 멧돼지에서 (처음 돼지열병이) 발견된 후 매뉴얼에 따라 대응책을 펴왔다”며 “특히 멧돼지 폐사체 개체수가 많이 늘어난 것은 지난 5월부터 신고 금액을 5만원에서 10만원으로 늘렸고 예찰도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또 “5월 이후 전국적으로 (멧돼지를) 두 배 더 잡았다. 최근 3일간은 예년보다 4배나 더 잡아 적극 포획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달 17일 경기 파주를 시작으로 농가의 사육 돼지에서만 검출되다가 이달 2일 연천군 DMZ 안에서 발견된 멧돼지 사체 1마리에서 처음 나온 뒤 지금껏 9마리로 늘었다.

농가의 지역별 검출 건수는 파주 5건, 연천 2건, 김포 2건, 강화 5건 등 총 14건이다.

야생멧돼지의 경우 연천 4건, 철원 4건, 파주 1건이다. 이중 민통선 안에서 발견된 개체 수는 7마리다. 나머지 2마리의 발견 장소는 DMZ 안쪽 1마리, 민통선 남쪽 1마리였다.

파주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확진됐을 당시 멧돼지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자 환경부는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하다. 북한 멧돼지가 유입됐을 가능성도 현실성이 낮다”고 발표했다.

신도시 인근 평야지대로 주변 구릉지가 소규모로 단절돼 있는데다 마을 이장의 지역 내 멧돼지 활동이 없었다는 증언이 있었고, 임진강 하구 한강 합류지점과 10㎞ 이상 떨어져 있어 한강을 거슬러 북한 멧돼지가 올 수 없다는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정확한 감염원을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성급한 판단을 내린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세종·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