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BM 3기까지 탑재… 美감시 피해 알래스카도 타격 가능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7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北 신형 잠수함 위협]北, 美와 협상 교착속 무력 과시
3년전 SLBM 시험발사 성공후… 크기-잠항 능력등 계속 키워와
배수량 최소 3000t 넘을수도… 北잠수함 중 최대규모 가능성
김정은, 트럼프에 비핵화협상 압박… 한미 연합훈련에 맞대응 성격도

신형 잠수함 시찰하는 김정은 북한 조선중앙TV가 23일 공개한 신형 잠수함. 김정은 국무위원장(점선 안)이 잠수함을 시찰하고 있다. 이날 북한 매체들은 ‘새로 건조한 잠수함’이라고 밝혔을 뿐 구체적인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만으론 정확한 성능과 기종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2016년 8월 SLBM(북극성-1형) 시험 발사에 성공한 신포급 잠수함(2000t)의 개량 기종으로 추정했다. 조선중앙TV 화면 캡처
신형 잠수함 시찰하는 김정은 북한 조선중앙TV가 23일 공개한 신형 잠수함. 김정은 국무위원장(점선 안)이 잠수함을 시찰하고 있다. 이날 북한 매체들은 ‘새로 건조한 잠수함’이라고 밝혔을 뿐 구체적인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만으론 정확한 성능과 기종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2016년 8월 SLBM(북극성-1형) 시험 발사에 성공한 신포급 잠수함(2000t)의 개량 기종으로 추정했다. 조선중앙TV 화면 캡처
북한이 23일 공개한 신형 잠수함은 외형을 보면 배수량이 최소 2000t 이상으로 추정된다. 기존에 실전 배치된 잠수함 가운데 가장 큰 로미오급(1800t)을 능가하는 규모다.

북한 매체들은 ‘새로 건조한 잠수함’이라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만으론 정확한 성능과 기종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수직발사관이나 추진기관(프로펠러) 등 잠수함의 핵심 장비와 선체 전체를 찍은 장면이 없는 것도 성능 노출을 최대한 차단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하지만 그간 북한의 잠수함 및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사를 되짚어보면 그 실체가 드러난다는 분석이 많다. 우선 2016년 8월 SLBM(북극성-1형) 시험발사에 성공한 신포급 잠수함(2000t)의 개량 기종으로 추정된다.


신포급에 장착된 수직발사관 1개를 2, 3개로 늘리고 덩치도 키운 신형 잠수함을 건조한 걸로 보인다는 것이다. 수직발사관 개수가 늘면 더 많은 SLBM을 실을 수 있어서 공격력이 배가된다. 군 관계자는 “신포급은 SLBM 1기만 실을 수 있고, 잠항능력도 떨어진다”며 “북한은 지난 몇 년간 3기 정도의 SLBM을 탑재하는 대형 잠수함 건조에 주력해왔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미국의 북한전문매체인 38노스도 신포조선소에서 신포급 탄도미사일 잠수함으로 추정되는 잠수함이 건조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선임분석관은 “수직발사관 3개를 갖춘 최소 3000t 이상의 신형 잠수함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990년대 중반 러시아에서 도입한 골프급 잠수함(2820t)을 전면 개보수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잠수함 함장을 지낸 문근식 해군 예비역 대령은 “선체 노후도로 볼 때 신규 건조보다는 3개의 수직발사관을 갖춘 골프급을 ‘리모델링’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수직방향타의 외형이 골프급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콜드론치(cold launch) 발사관에 내장된 가스 발생기로 미사일을 일정 높이로 쏴 올린 뒤 추진체를 점화해 발사하는 방식. 발사관 안에서 점화 발사되는 핫론치(hot launch)보다 발사체 손상을 줄이고 발사 위치를 은폐하는 데 유리하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의 핵심 기술이다.
콜드론치(cold launch) 발사관에 내장된 가스 발생기로 미사일을 일정 높이로 쏴 올린 뒤 추진체를 점화해 발사하는 방식. 발사관 안에서 점화 발사되는 핫론치(hot launch)보다 발사체 손상을 줄이고 발사 위치를 은폐하는 데 유리하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의 핵심 기술이다.
북한의 ‘콜드론치(cold launch·냉발사체계)’ 기술 완성 여부도 주시할 대목이다. 신형 잠수함이 동해 작전수역에 실전배치를 앞두고 있다는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SLBM의 수중 발사에 적용되는 콜드론치 기술도 완벽하게 갖췄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앞서 2016년 신포급 잠수함은 북극성-1형을 콜드론치 방식으로 수면에서 약 2m 아래 물속에서 발사했다. 수면과 가까울수록 위성이나 대잠초계기에 발각될 가능성이 크다. 완벽한 콜드론치로 보기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이후 북극성-2형의 개발 및 시험발사 등을 통해 10m가 넘는 물속에서도 SLBM을 발사하는 콜드론치 기술을 확보했을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핵추진 잠수함 건조가 북한의 최종 목표라는 분석도 나온다. 여러 발의 핵탑재 SLBM을 장착한 신형 잠수함을 거쳐 대규모 전략핵잠수함(SSBN)을 확보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신형 잠수함을 공개한 것은 다음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 군사연습과 F-35스텔스기 배치 등에 대한 ‘맞불 작전’으로 보인다. 아울러 미국을 협상 테이블로 불러내려는 ‘압박 메시지’로도 해석된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 조건을 거부한 채 시간을 끌수록 대미 핵능력은 더 강력해진다는 경고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북한#신형 잠수함#최대규모#비핵화협상 압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