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구의 옛글에 비추다]쌀이 흘러나오는 구멍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3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어떤 백성이 태창(太倉) 옆에 살았다. 그는 장사도 하지 않고 농사도 짓지 않았는데 저녁마다 밖에 나갔다 밤에 돌아올 때면 반드시 쌀을 다섯 되씩 가지고 왔다. 쌀이 어디서 났느냐고 물어도 말해 주지 않으니 처자식들도 알 수가 없었다. 이렇게 하여 수십 년이 지나도록 하얀 쌀밥을 먹고 화려한 옷을 입을 수 있었으나 그 집을 살펴보면 항상 살림살이가 텅 비어 있었다.
그가 병들어 장차 죽게 되자 아들을 불러 은밀히 말하였다. “태창 몇 번째 기둥에 구멍이 있는데, 크기가 손가락만 하다. 그 안에는 쌀이 잔뜩 쌓여 있는데 막혀서 흘러나오지 못한다. 너는 손가락 굵기만 한 나무 막대를 가지고 가서 구멍을 후벼 쌀이 흘러나오게 하되, 하루에 다섯 되가 되거든 중지하고 욕심껏 취하지 말아라.”

권필(權·1569∼1612) 선생의 ‘석주집(石洲集)’ 외집 제1권에 실린 ‘어떤 백성 이야기(倉氓說)’입니다. 태창(太倉)은 조선시대에 관원들의 녹봉을 지급하던 창고인 광흥창(廣興倉)의 별칭입니다. 창고 기둥에 구멍이 뚫린 것을 혼자만 알고 있던 아버지가 하루 다섯 되씩 쌀을 훔쳐 내서 그걸로 평생을 잘 살다가 마지막 세상을 떠나는 순간 아들에게만 남몰래 영업 비밀을 알려줍니다. 욕심내지 말라는 아버지의 마지막 말씀이 의미심장합니다.

그 백성이 죽은 뒤 아들이 이어받아 그 일을 하니, 옷이며 음식이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와 같았다. 그러던 어느 날, 아들은 구멍이 작아서 쌀을 많이 꺼내지 못하는 것이 아쉬워 끌로 파서 구멍을 크게 만들더니 하루에 몇 말씩 쌀을 취하였다. 얼마 후 그것으로도 부족하자 또 끌로 파서 구멍을 더 크게 만들었다. 마침내 창고를 지키던 관리가 쌀을 도둑맞은 것을 알아차리고는 그 아들을 잡아서 죽였다.

아버지의 당부가 어쩐지 예사롭지 않더라니 결국은 이렇게 될까봐 그러셨던 것이군요. 사람은 다 이런 건지 이런 사람만 이런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도둑질을 하더라도 만족할 줄만 알면 된다는 게 이 글의 주제는 설마 아니겠지요. 선생의 마무리 말씀은 이것입니다. “하물며 군자로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야 말할 나위 있겠는가. 하물며 천하의 큰 이익을 취하고도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이야 말할 나위 있겠는가.(況君子而知足者耶? 況取天下之大利而不知足者耶?)”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권필#석주집#욕심#만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