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 우복리서 고려∼조선 초기 추정 석실묘 발굴

  • 뉴시스
  • 입력 2019년 8월 19일 15시 48분


코멘트
경남 하동군은 양보면 우복리 고래장골에서 고려∼조선 초기로 추정되는 석실묘가 발굴됐다.

하동군은 우복리 고래장골 일원에 도굴·훼손된 석실묘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복원을 통한 역사문화 자원 활용을 위해 지난달 29일부터 (재)경남문화재연구원(원장 박동백)에 의뢰해 긴급 발굴조사를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재)경남문화재연구원에서 석실묘 발굴조사 결과 우복리 고분은 해발 572m의 이명산 계봉 북서쪽 능선에서 서쪽으로 갈라져 나온 가지능선의 돌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 서쪽 능선에 고분 1기가 더 확인됐다.

고분 입지가 산 중턱에 단독 묘역을 마련하고 풍수지리사상에 입각한 지세를 이용한 점과 평편한 천장에 장대석으로 세로로 평평하게 쌓은 점, 수습된 유물(도기편·기와편·청자편·백자편) 등을 고려할 때 고려∼조선 초기 석실묘로 추정됐다.

(재)경남문화재연구원은 석실을 중심으로 폭 40㎝ 정도의 십자 둑을 설치하고 봉분을 4분면으로 나눠 둑을 남기고 1차 노출 및 표토제거 작업을 실시했다. 트렌치는 폭 50㎝ 정도로 설정하고 둑에 밀착시켜 나란히 굴착해 토층조사를 실시했다.

봉분은 도굴로 훼손돼 대부분 유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석실 외곽에 타원형으로 둘러진 돌을 통해 볼 때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며 규모는 길이 6.3m 너비 4.8m이다.

석실은 주축 북동-남서향으로 평면형태가 장방형의 횡구식석실묘이다. 묘도의 굴광은 확인되지 않지만 폐쇄석으로 판단되는 대형할석을 통해 그 흔적을 짐작할 수 있다.
입구는 판상할석 2매로 문비석을 만들었던 것으로 보이며, 도굴 시 원위치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실의 규모는 길이 3.6m 너비 1.4m 높이 1.5m 정도이다.

현실 측벽은 가는 장방형 할석으로 수직으로 쌓았다. 후벽은 대형 판상할석으로 쌓고 그 위는 가는 장방형 할석으로 세로로 평행하게 쌓았다.

바닥은 목탄편이 혼입된 황갈색 풍화암반토로 정지하고, 소형할석으로 전면에 시상을 시설한 것으로 보인다. 도굴되면서 바닥면이 대부분 이탈될 것으로 판단됐다.

조사결과를 종합해볼 때 우복리 고분은 석실은 백제 사비기(538~660) 이후 만들어진 횡구식석실묘와 석실 구조가 매우 유사한 형태이나 고려∼조선초기의 무덤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발굴단은 “고려~조선초 하동지역의 고분문화와 지역사를 이해하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동=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