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919년 강우규 의사, 日총독에 폭탄 투척

  • 입력 2006년 9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단두대 위에 서니 봄바람이 감도는구나(단두대상 유재춘풍·斷頭臺上 猶在春風). 몸은 있으되 나라는 없으니 어찌 감상이 없으리오(유신무국 기무감상·有身無國 豈無感想).”

독립투사 강우규 의사가 1920년 11월 19일 서대문 형무소에서 순국하기 직전에 남긴 말이다.

강 의사는 1855년 6월 2일 평남 덕천군 무릉면 제남리에서 태어났다. 30세 때 한의술을 배웠고 기독교도가 된 뒤 청년들에게 신학문을 가르쳤다.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뒤 그는 만주로 건너갔다. 지린(吉林) 성 라오허(饒河) 현에 ‘광동학교’를 세워 후학을 양성했다.

그런 그가 다시금 ‘빼앗긴 조국’으로 돌아오게 된 것은 1919년 3·1운동이 계기가 됐다. 17세의 유관순 열사가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는 소식에 환갑을 훌쩍 넘긴 강 의사의 가슴은 뜨거워졌다.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 등과 함께한 자리에서 그는 거사를 자원했다.

그해 9월 2일 서울역(당시는 남대문역) 앞. 강 의사는 가슴 속에 영국제 폭탄을 들고 한 곳을 노려보고 있었다. 그의 시선은 이날 3대 조선총독에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齋藤實)가 타고 있던 마차에 멈췄다.

마차가 가까이 왔을 때 강 의사는 주저 없이 폭탄을 던졌다. 폭탄은 사이토를 빗나갔고 일본 경찰과 수행원, 신문기자 등 30명이 부상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당시 일본 수뇌부를 깜짝 놀라게 했던 사건이었다.

수많은 사람이 오가는 서울 중구 서울역. 이 서울역사 앞에는 그의 흔적을 담은 기념비가 있다. ‘강우규 의사 항일의거 자리.’

강 의사는 폭탄을 투척한 직후 체포돼 이듬해 4월 20일 사형을 선고받았다. 재판정에서 그는 의연하게 말했다.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이 늙은이가 구구하게 생명을 연장하자는 게 아니다. 재판장이여, 나는 이미 죽기로 맹세한 사람이니 아무쪼록 당신네(일본인)는 널리 동양 전체를 위해 평화를 그르치지 말기를 기원할 뿐이다.”

우리 정부는 1962년 강 의사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환갑이 넘은 나이에 일제에 폭탄을 던지며 항거한 강 의사의 노익장은 고개를 절로 숙이게 한다. 공자도 “60세에는 듣는 대로 그 뜻을 저절로 알게 된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황태훈 기자 beetlez@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