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몸 3개 머리 2개였어야…내일은 몇개 필요할까” 故윤한덕 센터장 SNS 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응급의료 컨트롤타워의 비명]윤한덕 센터장 과로사 부른 의료현장

쉴틈 없는 재난응급의료상황실 7일 오후 3시경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재난응급의료상황실에서 당직 의료진이 전국 응급실의 빈 병상 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있다.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쉴틈 없는 재난응급의료상황실 7일 오후 3시경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재난응급의료상황실에서 당직 의료진이 전국 응급실의 빈 병상 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있다.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7일 오후 3시경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재난응급의료상황실의 전화벨이 쉴 새 없이 울렸다. 전국 병원과 119구급대에서 “응급실이 부족하다”는 다급한 전화가 줄을 이었다. ‘골든타임 확보’의 최일선에 선 당직 의료진 6명은 검은 상복(喪服)을 입은 채 민첩하게 응급실의 빈 병상을 연결했다. 이들에겐 전쟁 같은 이 업무가 일상이다. 이곳은 설 연휴에 퇴근을 미루고 응급상황을 챙기다 쓰러져 설 전날인 4일 숨진 채로 발견된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51)이 생전에 응급 환자들을 살리기 위해 악전고투한 공간이다.


○ 전국 응급실 ‘비명’ 집중되는 상황실

윤 센터장은 이국종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에게 종종 “응급실이 지옥 같다”고 토로했다. 응급실에 자리가 없어서 환자가 다른 병원을 전전하다가 숨지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그의 표현대로라면 재난응급의료상황실은 열악한 국내 응급의료 현실이 집약된, 전국 응급실의 비명이 집중되는 곳이다.

재난응급의료상황실은 윤 센터장의 빈소가 차려진 이날에도 변함없이 북새통 같은 분위기였다. 한 당직 의료진이 “서울 ○○병원에 ICU(중환자실)가 없대요”라고 외치자 다른 의료진이 곧장 상황판에 뜬 각 병원의 빈 병상을 살펴보더니 인근 병원에 연락했다. “바이탈(생체 신호)은 괜찮은데 외과적인 관찰이 필요해서 그러니 받아주세요”라며 읍소에 가까운 상황 설명이 이어졌다.

이곳 근무자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근무자의 일 처리 속도가 환자의 생명을 살릴 골든타임 확보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식사는 고사하고 잠시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자리를 비웠다가도 급한 호출을 받고 돌아오기 일쑤다. 상황실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 김모 씨(30·여)는 “담당했던 응급 환자가 응급실에 끝내 자리를 못 잡고 숨지면 정신적 압박에 시달린다”고 토로했다.

윤 센터장은 2017년 10월 추석과 개천절, 한글날로 이어지는 열흘간의 연휴를 한 달여 앞두고 페이스북에 “연휴가 열흘! 응급의료는 그것만으로도 재난이다!”라고 썼다. 대다수 병원이 문을 닫는 명절 연휴,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 응급실 빈자리가 부족해져 환자의 골든타임을 놓칠까 봐 마음을 졸인다는 뜻이었다. 이 글을 올린 지 며칠 뒤 윤 센터장은 “오늘은 몸이 세 개, 머리가 두 개였어야 했다. 내일은 몇 개가 필요할까?”라며 응급의료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페이스북에서 한탄했다.


○ 응급실 방문 4명 중 3명은 비응급 환자

이런 일이 벌어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급히 진료를 보지 않아도 되는 가벼운 환자가 응급실 병상의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가 2016년에 응급의료센터를 찾은 환자 4만6558명을 응급도에 따라 다섯 단계로 구분한 결과 비응급 환자에 해당하는 4, 5급 환자가 3만3663명으로 전체의 72.3%를 차지했다. 실제로 5급 환자 1만1967명 중 91.2%는 간단한 처치만 받고 퇴원했다. 응급도가 가장 높은 1급 환자는 341명(0.7%)에 불과했다.

이는 중증 응급 환자가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결과로 이어진다. 2017년 급성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환자 1222명이 처음 찾은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통계도 있다. 응급실 의료진은 경증 환자를 상대하느라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격무에 시달린다. 1일 가천대 길병원에선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레지던트) A 씨가 당직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경증 환자가 응급실 병상을 차지하는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 야간에 외래 진료가 가능한 동네 병·의원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저녁 시간 이후 발생한 경증 환자 대다수는 달리 갈 곳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응급실을 찾기 때문이다. 허윤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장은 “늦은 저녁까지 영업하는 대형마트나 영화관에 세제 혜택을 주고 내과나 소아과 의원을 영업할 수 있도록 하면 경증 환자는 편리하게 진료를 보고, 응급실은 그만큼 여유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병원 경영진이 ‘돈이 안 된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응급실 및 중환자실 운영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내놔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는 일반 병실에 비해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 대비 건강보험 수가가 낮아 병원에 적자를 감수하고 병상을 늘리라고 요구하기 어려운 구조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