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핵실험으로 北에 뺨 맞은 시진핑, 국제사회서 고개 못들어 석유제한 찬성”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9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北 미사일 도발]中 정치평론가 덩위원 분석

중국이 대북 석유 공급 축소에 찬성한 것은 스스로 인내의 한계점에 도달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내부에서 나왔다. 덩위원(鄧聿文·사진) 차하얼(察哈爾)학회 고급연구원은 16일 싱가포르 연합조보 기고에서 북한 6차 핵실험 후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서 석유 공급 30% 제한에 동의한 것과 관련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반대 명분마저 잃게 하는 등 북한이 공공연히 중국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권위에 도전하고 전략적 위상에도 큰 흠집을 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해 9월 5차 핵실험 이후 중국은 북한에 대해 더 이상 핵실험을 하지 말라는 ‘레드라인’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6차 핵실험은 이 선을 넘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욱이 북한이 9월 3일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열리는 날 수소폭탄 실험을 한 것은 중국과 시 주석의 뺨을 때린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해석했다. 시 주석은 이런 김정은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면 누구도 그의 말을 듣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게 됐을 가능성이 높다. 덩 연구원은 “시 주석의 권위는 치솟고 있는데 (북한의 핵실험 도발로) 국제사회에서는 고개를 들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이번에도 확실한 힘을 보여주지 못하면 책임 있는 대국이 되려고 했던 그간의 노력도 수포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북한 6차 핵실험으로 중국이 사드를 반대할 도덕적 기반을 잃었고 앞으로도 반대를 지속하기 어렵게 됐다는 선언은 이번 기고의 핵심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을 막지 못하면서 한국에 사드 배치만 중단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이다.

덩 연구원은 이런 현상이 6차 핵실험 이후 대응에도 그대로 나타난다면 중국에 심각한 결과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중국이 주도권을 상실한 사이 미국이 중국을 배제한 채 한국 일본과 손잡고 북핵 문제 해결에 나서고, 심지어 북한에 대한 외과수술식 군사행동에 나서더라도 중국은 지켜보기만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구자룡 기자 bonhong@donga.com
#시진핑#북한#핵#미사일#기술#중국#대북정책#덩위원#석유제한#6차 핵실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