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종합 놓고… 문재인 “선발 축소” 안철수 “신뢰 제고”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4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대선주자들 대학입시 개편 방향

현재 국내에서 대학을 갈 때 선택할 수 있는 전형은 크게 △학생부 종합전형 △학생부 교과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 △논술 △특기자전형 등 5가지다. 이 가운데 논술전형에 대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모두 ‘폐지’ 칼날을 들이댄 것은 어떤 전형보다 사교육의 영향력이 크고 비용 또한 매우 높다고 봤기 때문이다.

현재 각 대학별고사의 논술 문제 난이도는 학교 수업만으로는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들다는 평가가 중론이다. 강남 지역 등에서 운영되는 학원들의 논술전형 특별반의 경우 1주일 내외의 단기반은 그 비용이 최고 수백만 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문 후보 측은 “논술 외에 어학 수학 과학 등 교과 부문 특기자전형 역시 올림피아드 출전 등과 관련해 사교육에 문제가 많아 폐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대선주자들 “논술 없애고 학종 손볼 것”

그러면 논술전형으로 뽑아온 인원을 어떻게 뽑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선 두 후보가 다른 견해를 보였다.

문 후보 측은 “학종의 취지가 좋다는 건 인정하지만 명문대들의 학종 비중은 지나친 면이 있다”며 “학종의 비중을 제한하고 학생부교과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 문 후보 측은 “문 후보의 교육 공약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고교 학점제’”라며 “자신이 선택한 과목을 듣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을 가려면 대입에서 학생부 교과의 영향력이 커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의 큰 대학들이 비교과를 중심으로 한 학종 비율을 지나치게 늘리면서 교육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다”며 “수시 가이드라인을 세워 주요 대학의 전형별 선발 비중이 균형을 찾도록 견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몇 년간 학종을 중심으로 재편된 주요 대학들의 입시제도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반면 안 후보 측은 “학생부를 중심으로 한 입학사정관제가 방향성은 맞다”며 “다만 공정성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부족한 만큼 대학들의 선발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명확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의무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 측은 “학종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대학별 입학사정기준을 모두 의무적으로 공개하게 할 것”이라며 “학부모보호위원회를 만들어 대학 편의주의나 입시·사교육 피해 사례를 접수하고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 수능 변별력 약화될 듯… 대학들 “뭘 보고 뽑나”

대선주자들은 수능의 영향력도 단계적으로 줄이겠다는 입장이다. 문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현 중3들이 치를 2021학년도 수능을 전 과목 절대평가화하겠다고 밝혔고, 안 후보는 장기적으로 수능을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만 구분하는 자격고사화하겠다고 밝혔다.

수능의 영향력이 줄면 고3 교실이 EBS 문제집 풀이 현장으로 변하는 주입식 교육의 폐혜는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능이 초기 학생부 관리에 실패한 학생이나 재수생의 ‘패자부활전’ 역할을 한 측면이 있는 만큼, 수능 변별력이 사라질 경우 이런 학생들이 재기에 도전할 통로가 막히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앞으로 대입에서 학생부가 막강한 영향력을 갖게 되는 만큼, 현재 지역이나 학교, 교사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는 학생부 작성에 대한 공정하고 명확한 지침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 한 입시 컨설팅 관계자는 “결국 교사가 학생에 대해 얼마나 성의껏 기록해 주는가가 대입 성패를 가를 것”이라며 “서술형 평가나 학생부 기록에 대한 전국적인 교사 재교육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서울 강남이나 목동 등 교육특구의 명문 일반고만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입시업계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차기 정권에서 뭘 보고 어떻게 입학생을 뽑겠다는 건지 확 와 닿지 않는다”며 “대학별고사 부활이나 내신 사교육 열풍이 불 수 있어 대학이나 학부모들이 적잖은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우선 imsun@donga.com·유덕영 기자
#대선주자#대학입시#개편#안철수#문재인#학생부종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