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도 기업… 정부지원 의존 말고 경영 마인드 갖춰라”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2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세상을 바꾸는 젊음의 도전]

제아무리 좋은 취지로 세운 사회적 기업이라도 몇 년 못 가 문을 닫는다면 구성원이나 고객에게 민폐일 수밖에 없다. 이들에게 지원된 예산이 낭비된다는 지적도 피할 길이 없다. 예비 사회적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지도하는 전문가들은 “공익가치를 추구하는 건 바람직하지만 실패하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예산 낭비 등의 지적을 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병태 SK-KAIST 사회적기업가센터장이 학생들에게 가장 강조하는 덕목은 ‘경영 능력’이다. 이 교수는 “사회적 기업도 엄연히 사업인데 경영을 전혀 모르고 뛰어드는 젊은이들이 많다”며 “최대한 단기간에 초기 자본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지원금이나 빌린 돈으로 사업을 확장하다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업 규모에 맞게 경영 전략을 세우라”고 조언했다.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뛰어넘는 ‘혁신’도 필요하다. 정무성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취업이 안 되다 보니 창업을 생각하고, 그러다 공익적 가치에 끌려 무턱대고 일을 키우는 젊은이들도 있다. 아이디어도 기존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사례가 많다”며 안타까워했다.

실제로 사회적 기업당 연평균 매출은 2007년 9억1100만 원에서 2011년 8억2600만 원으로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9100만 원에서 1140만 원으로 월 100만 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2012년부터 올해까지 정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 예산 총액은 6442억 원에 달한다. 기업의 사회적 공헌이 중요시되면서 여러 대기업도 앞다퉈 지원에 나서고 있다. 해외 성공사례를 따라하기에 급급하다 보니 투자에 비해 성과는 부족하다.

적정 시점부터는 정부가 손을 떼고 민간의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비영리 부문에 지나치게 관여하다 보면 의존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 대신 민간 투자는 활성화돼야 한다. 이 교수는 “참을성 있는 자본이 2차, 3차 투자를 해 줘야 건전한 사회적 기업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브라질과 싱가포르 등은 사회적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사회적 거래소’를 만들어 사회적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