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일제강점기 ‘연해주 독립운동 대부’ 최재형 선생 기념비 건립

일제강점기 ‘연해주 독립운동 대부’ 최재형 선생 기념비 건립

Posted August. 13, 2019 10:27,   

Updated August. 13, 2019 10:27

日本語

 일제강점기 당시 러시아 연해주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한 ‘페치카’ 최재형(1860∼1920·사진) 기념비가 광복 74주년을 앞두고 현지에 세워졌다.

 최재형순국100주년추모위원회는 12일(현지 시간) 러시아 우수리스크에서 최재형의 항일 독립운동을 기념하는 비석과 흉상 제막식을 열었다. 그의 고택을 새로 단장한 최재형기념관 경내에 세워진 이 기념비는 그가 생전에 광복을 열망한 한반도 국토 모양 비석으로 만들어졌다. 2.5m 높이의 비석에는 태극기 문양도 새겨졌다. 비석 전면 우측으로는 ‘애국의 혼 민족의 별 최재형’이란 문구가 들어갔다. 비석 한쪽으로는 최재형 흉상도 함께 들어섰다. 비용은 국가보훈처와 한민족평화나눔재단, 최재형기념사업회가 지원했다.

 비가 내리는 가운데 열린 제막식에는 최재형순국100주년추모위원회 공동대표인 소강석 한민족평화나눔재단 이사장, 안민석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최재형의 손자인 러시아독립유공자협회 최발렌틴 회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은 축사에서 “일제강점기 추운 조국의 현실에 따뜻함을 전해주신 최재형 선생을 우리는 ‘페치카’라는 애칭으로 기억하고 있다”며 “오늘 제막하는 기념비 비문처럼 최재형 선생은 ‘애국의 혼, 민족의 별’로 오래도록 우리 곁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소강석 이사장은 축사에서 “오늘 추모비를 세움으로써 최재형 선생의 애국애족의 정신이 민족의 광야에 순백의 꽃으로 피어나고, 별처럼 빛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제막식에는 최재형 선생 추모곡 ‘자유의 아리아’를 테너 박주옥 교수가 불렀으며, 창원국악관현악단과 바이올리니스트 닐루파르 무히디노바 양의 연주와 헌화가 이어졌다.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리는 최재형은 1920년 일본군에 체포돼 순국하기까지 항일 독립운동과 한인 동포 지원에 헌신적으로 활동했다. 1860년 함경북도 경원에서 노비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연해주로 이주해 군납사업을 하며 부를 쌓았다. 그는 전 재산을 항일 독립운동과 한인 동포 지원에서 쏟아 부어 그에게는 러시아어로 난로를 뜻하는 ‘페치카’라는 애칭이 따라다녔다.

 연해주에서 한인사회 대표 지도자로서 학교를 세워 인재 양성에 나섰고, 대동공보사와 대양보, 권업신문을 만들어 민족의 독립정신을 고취했다. 의병부대인 ‘동의회’를 조직해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지원했으며 대한국민의회 외교부장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재무총장에 임명됐다. 1920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 상륙한 일본군에 의한 신한촌 참변 때 연해주에서 체포돼 총살을 당해 순국했으며, 아직도 그의 시신과 묘지는 찾지 못했다. 정부는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3급)을 추서했다.


전승훈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