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조선인들, 日강제징용에 목숨걸고 저항

Posted September. 03, 2019 08:55,   

Updated September. 03, 2019 08:55

日本語

 “일제의 강제동원에 조선인들은 순순히 응하지 않았다. 혼자 탈출하거나 읍·면 직원과 경찰에게 보복했고, 집단 탈출과 비밀 결사를 비롯한 조직적 징용 반대 투쟁을 전개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도형)과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조광),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욱) 등 주요 역사연구기관은 일제 식민지 피해 실태와 과제를 조명하는 심포지엄을 4일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공동으로 개최한다. 미리 공개한 심포지엄 발표문에서 노영종 국가기록원 연구관은 “조선인은 파업, 태업, 무력행사 등의 노동쟁의를 비롯해 다양한 방식으로 강제동원에 저항했다”고 말했다.

 노 연구관은 발표문 ‘충남지역 강제동원 현황과 거부투쟁’에서 “조선인은 강제동원 현지뿐 아니라 숙박지와 기차역, 달리는 열차 등 동원 과정에서 끊임없이 탈출했다”면서 “집단 탈출은 일제의 전력(戰力)을 약화시키기 위한 독립운동 방략으로 적극적인 저항의 형태였다”고 밝혔다.

 그는 충남 출신이 주도적으로 이끈 노동쟁의로 1941년 10월 시즈오카 도이광업소와 1942년 4월 야마구치현의 히가시미조메 탄광, 홋카이도 아사지노 비행장, 1943년 8월 야마구치현 일본광업 산요무연탄광업소에서 벌인 무력항쟁, 1944년 효고현 가와사키조선소에서벌인 집단항쟁 등을 꼽았다. 민족운동 성격의 노동쟁의로는 1944년 5∼9월 홋카이도 북해도철도공업의 이와다구미 조선인 토공(土工) 민족주의그룹사건과 1945년 2월 홋카이도 후지와라구미의 치안유지법 위반 사건, 1944년 8월∼1945년 8월 아사히카와 토공그룹의 독립운동 사건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이 밖에도 남상구 동북아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장이 ‘일본의 전후 처리와 식민지배에 대한 역사인식’을, 박정애 동북아재단 연구위원이 ‘조선총독부 자료를 통해 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발표한다.

 박정애 연구위원은 발표문에서 일본군 ‘위안부’ 자료 연구에 대해 조언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가 반드시 위안소나 ‘위안부’라는 용어와 함께 자료에 기록된 것은 아니고 관할 경찰이나 헌병대에 대좌부(貸座敷), 요리점으로 등록돼 관리됐어도 사실은 공공연하게 위안소라 인식된 경우가 있다”며 “시기, 지역, 정치 상황별 실정을 이해하고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 치밀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종엽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