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남민전, 공산게릴라 조직인데 당사자 민주화운동 인정받아 (일

남민전, 공산게릴라 조직인데 당사자 민주화운동 인정받아 (일

Posted May. 25, 2011 03:16,   

日本語

1960, 70년대 주요 시국사건으로 꼽히는 1차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 통일혁명당(통혁당) 사건,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 등은 일부의 주장처럼 정부에 의한 용공조작 사건이 아니라 대부분 실체가 있었던 공산혁명운동 사건이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1960, 70년대 좌익운동 이론가로 활동한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75사진)는 26일 출간하는 저서(공저) 보수가 이끌다-한국 민주주의 기원과 미래(시대정신 펴냄)에 실은 증언록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좌익운동을 중심으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1979년에 발각된 남민전의 경우 북한과 연합전선을 구축하려 했고 무장게릴라 활동용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무장강도 행각까지 벌였음이 명백한데도 관련 당사자가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 의해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받은 것은 문제가 있다고 안 교수는 밝혔다.

안 교수는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70)와 박성준 성공회대 겸임 교수(71)가 통혁당의 핵심 일원으로 활동했다며 두 사람의 활동상을 상세하게 증언했다. 안 교수는 통혁당이 북한의 지령에 의해 구축된 조직이었고 김종태가 주도했으며 그 하부운동은 당시 서울대 상대에서 가장 활발했는데 그 하부운동의 중심에 신영복과 박성준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밖에 안 교수는 1차 인혁당이 지난해 나온 박범진 전 의원의 증언처럼 자생적인 공산혁명 조직이었음을 재확인했고 인혁당재건위(2차 인혁당)의 경우 실체는 있었지만 당시 전국적인 조직을 갖췄던 학생운동조직 민청학련을 지도하려다 실패하는 등 한 일이 거의 없었는데 가담자에게 사형선고가 내려지는 등 과도한 처벌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 주요 좌익활동으로 오랫동안 세력을 확장해 온 지하조직 김정강그룹이 있었지만 경찰 수사 과정에서 실상이 거의 파악되었음에도 물증이 나오지 않았고 1026사태 등 어수선한 사회분위기의 영향도 겹쳐 2명만 재판에 회부돼 금고형을 받는 데 그쳤다고 안 교수는 증언했다.

증언록에서 안 교수는 당시 수사기관에 발각돼 조사발표된 대부분의 보도내용이 기본적으로는 사실이라고 밝히며 당시 사회주의운동은 민주화라는 명분을 걸고 운동은 했지만 사실상 그 사상내용으로는 민주주의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운동을 했다고 평가했다. 안 교수는 당시 민주화운동 중에서 세력으로서는 학생운동이나 노동운동 등의 대중운동이 강했지만 사상적으로는 야당이 주도한 순수 자유민주주의운동이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고 회고했다.

안 교수가 공저자에 포함된 책 보수가 이끌다에는 안 교수의 글 외에 민주주의의 기원과 전개 신정치질서의 구상 민주주의의 미래로 나뉜 분류 아래 이주영 건국대 명예교수의 이승만 시대의 보수세력과 민주제도 등 11편의 논문이 실렸다.

출판기념회는 26일 오후 5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다.



허진석 jameshu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