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4년만에 휴대전화 재개통한 까닭은

  • 동아일보
  • 입력 2008년 12월 17일 03시 03분



“핵보유 자신감-전쟁위험 감소 판단”

북한에서 15일부터 휴대전화 서비스가 재개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은 이미 2002년 태국 기업 록슬리와 손잡고 휴대전화 사업을 시작했으나 2004년 4월 평북 용천에서 열차 폭발사고가 일어난 직후 휴대전화 사업을 중단했다.

이를 두고 당시 한국에선 용천 폭발사고가 단순 사고가 아니라 누군가 휴대전화로 원격 조종해 기폭장치를 터뜨린 것이라는 설(說)이 나왔다.

하지만 한 북한 소식통은 최근 “용천역 폭발사건 이전부터 휴대전화 사업 중단은 이미 예정된 것이었다”며 “2003년 3월 발생한 이라크전쟁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북한 군부가 이라크전쟁을 분석한 결과 미국이 이라크 정부와 군 고위급 인사들에게 휴대전화를 걸어 심리전을 펼친 것이 먹혀들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런 우려 때문에 휴대전화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북한 휴대전화 서비스를 재개한 이유에 대해 “핵실험을 통해 ‘핵보유국’이 됐다는 자신감에다 미국에 버락 오바마 정권이 들어서면서 전쟁의 위험성이 그만큼 낮아졌다는 판단이 선 듯하다”고 말했다.

이집트 오라스콤은 앞으로 3년간 4억 달러를 투자해 평양 등 3대 주요 도시부터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오라스콤은 개통 초기 평양에서만 가입자 15만 명을 모집해 사용자당 연평균 12∼15달러의 수익을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목표는 달성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북한에서 휴대전화를 쓰려면 가입비와 기기비용을 포함해 1000달러 정도가 있어야 하는데, 이는 북한의 서민층 4인 가족이 2년 정도 먹고살 수 있는 거액이기 때문이다.

물론 북한의 대도시에 널리 퍼진 가정 유선전화 가입자(20만∼30만 가구 추정·가입비 약 500달러)를 감안하면 수십만 명의 가입자 확보가 불가능하지만은 않다.

하지만 당국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가입자 확보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이 2004년 휴대전화 서비스를 중단하고 아무런 배상도 하지 않아 초기 가입자들이 큰 손해를 봤기 때문이다.

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