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구글•페이스북에 ‘뉴스 제값 받기’ 단체행동 나선 美언론

구글•페이스북에 ‘뉴스 제값 받기’ 단체행동 나선 美언론

Posted July. 12, 2017 07:16,   

Updated July. 12, 2017 07:33

ENGLISH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2000곳의 미국 온·오프라인 언론사들이 구글과 페이스북에 맞서 뉴스에 제값을 지불하라며 공동대응에 나섰다. 뉴스미디어연합(NMA)을 앞세워 단체협상을 하는 한편 이 협상이 반독점법의 적용을 받지 않게 하는 입법도 미 의회에 요구한다는 것이다. 인터넷포털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불공정 횡포를 더 이상 참지 못하겠다는 언론사들이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신문과 잡지 등 전통매체는 위축되고 인터넷매체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광고시장의 판도는 특히 그렇다. 연간 온라인 광고수익의 70%(730억 달러)을 독차지하는 기업이 구글과 페이스북이다. 두 기업이 엄청난 수익을 얻는 것은 뉴스의 게재 및 검색을 통해 이용자들을 끌어들이는 덕분이다. 정작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들은 정당한 대가는 고사하고 언론사의 브랜드까지 잊혀지는 지경이 됐다. 작년 미 신문업계의 광고수익은 10년 전의 3분의 1로 급감했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쥐락펴락하는 국내 온라인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네이버는 120곳이 넘는 언론사로부터 뉴스를 공급받지만 광고수익의 미디어별 기여도는 밝히지 않는다. 뉴스를 1차로 생산하는 신문 덕분에 많은 광고수익을 얻는 것이 분명한데도 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무슨 기준으로 뉴스를 편집하고 인터넷에 올리는지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뉴스의 길목을 장악한 네이버는 이의를 제기하는 언론사들에게 “뉴스를 올리기 싫으면 그만두라”는 갑질 행태를 부린다. “신문이 디지털로 전환하는데 성공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태도변화를 내비친 구글과는 차이가 크다. 국내 독자의 40% 이상이 뉴스를 읽으러 포털에 들르는 상황에서 언론사들은 약자일 수밖에 없다.

 뉴스를 이용해 쉽게 돈을 벌지만 네이버는 그만한 책임은 지지 않는다. 지난 대선에서도 온갖 가짜뉴스가 횡행했지만 이를 차단하려는 네이버의 움직임은 굼뜨기만 했다. 그 결과는 광고주를 겁박하는 사이비언론이 기승을 부리고 올바른 여론도 형성되지 않아 민주주의까지 위협받는 것이다.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몰아내는 식이다. 이제라도 네이버는 뉴스에 합당한 대가를 지불하도록 언론사들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 그것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상생(Win-Win)의 길이다. 게재하는 기사도 철저하게 관리할 책임이 있다. 이 점에서는 정부의 역할도 결코 가볍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