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부모동의 장병만 지뢰제거 맡긴 軍정상인가

부모동의 장병만 지뢰제거 맡긴 軍정상인가

Posted March. 30, 2017 07:06,   

Updated March. 30, 2017 07:12

ENGLISH

 육군 3군사령부 예하 한 공병대대의 대대장이 지난달 6·25전쟁 당시 경기도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에 투입될 병사를 선발하면서 부모로부터 동의를 구했다고 한다. 필요한 병사 30명 중 부모가 허락하지 않은 3명은 빼고 모자란 병력을 추가 선발했다. 이 대대는 작년에도 같은 이유로 병사 5명을 다시 선발했다고 한다. 부모의 사전 동의를 받고 움직이는 군이 얼마나 효율적인 군사대응을 해낼 수 있는지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군에 간 자식이 당연히 해야 할 임무로 생각하고 지뢰제거에 동의해준 부모는 뭐가 되겠는가.

 일선 부대에서 부모의 간섭을 허용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신병이 훈련소에 입소하면 지휘관과 부모의 단체 카톡방이 개설돼 어머니들의 문의와 요구에 지휘관들이 업무에 방해를 받는 것이 현실이다. 성인이 된 병사의 해외파병 때 부모 동의가 필수항목이 된 지도 20년이 넘었다. 2010년 예편한 이상의 합참의장은 이 절차가 대표적 ‘병영 내 포퓰리즘’이라며 없애려 했으나 실패했다.

 부모가 군에 있는 자녀의 안위에 노심초사(勞心焦思)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2007∼2013년 7년 간 안전사고로 연평균 42명의 병사들이 목숨을 잃어 부모의 걱정이 기우만은 아니다. 최근 3년간은 연 20명대로 줄었지만 막을 수 있었던 희생이었다. 군이 병사들의 사고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던 관행은 부모의 걱정을 더 키우는 요인이다. 이런 부모들의 불안을 덜어준다며 군이 부대생활을 가급적 공개하지만 역작용도 크다는 점이 이번에 드러났다.

 강군(强軍)이 되려면 값비싼 첨단무기를 들여오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그 밑바탕에 장교와 병사, 그리고 군과 국민 간의 탄탄한 신뢰가 깔려 있어야 한다. 병사 운용에 부모의 동의가 필요했다는 점은 군과 국민 사이의 믿음에 크게 금이 갔다는 반증이다. 평소 억울한 인명 피해가 일어나지 않게 철저히 대비하고 급박한 상황에서 희생된 병사와 유족에게는 충분한 예우와 위로를 해야 한다. 병사는 물론 자식을 군에 보낸 부모도 병역 의무만큼 나라를 사랑하는 일이 따로 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