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한국 1월 식품물가 상승률 OECD 1위 윤재정 경기회복 흐름 낙관 어

한국 1월 식품물가 상승률 OECD 1위 윤재정 경기회복 흐름 낙관 어

Posted March. 10, 2011 10:34,   

ENGLISH

올해 1월 우리나라의 식품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곡물과 원자재 가격 상승 같은 공급요인뿐 아니라 기대인플레이션 등 수요 측면에서도 물가 압력이 높아지면서 경제회복 흐름이 꺾일 것이라는 위기감이 정부 내에서 높아지고 있다.

9일 OECD의 1월 소비자물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식품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6% 올라 34개 회원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조사에서는 한국이 10.6%로 에스토니아(12.2%)에 이어 상승률 2위를 기록했지만 1월에는 에스토니아가 11.4%로 한국보다 소폭 낮아진 것. 34개 회원국 가운데 한국과 에스토니아의 식품물가만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OECD 평균 식품물가 상승률은 2.6%였으며 주요 7개국(G7) 평균은 2.1%로 한국보다 상당히 낮았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한국이 4.1%로 에스토니아(5.2%), 그리스(5.2%), 터키(4.9%) 등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으며 OECD 평균인 2.1%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한국의 식품물가가 이처럼 높은 것은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국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데다 국내에서도 배추 파동을 비롯해 기상이변, 구제역 등의 여파로 식품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제곡물 수입 비중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농산물 수급을 전적으로 기후와 작황에 의존하는 천수답식 식품물가 정책이 한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국제 메이저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제곡물회사를 설립해 곡물 수입을 안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제대로 추진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식품물가를 안정시키려면 근본적으로 26%에 그치는 우리나라 곡물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화년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다른 OECD 국가들은 곡물 자급률이 100%가 넘어 국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해도 완충효과를 누릴 수 있지만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며 옥수수 대두 밀 등 곡물은 어느 정도 자급기반을 높이고 채소 등 신선식품은 비닐하우스 재배, 종자 개선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해 기상이변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식품을 비롯한 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올해 경제목표인 5% 성장도 달성하기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수요정책포럼 강연에서 물가 불안으로 전반적인 불확실성이 높아 우리 경제의 회복 흐름이 계속될 수 있을지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형준 constant2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