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한글로 만든 마루, 옷, 그릇...진화한 글자전시회에 어른들도 “와”

한글로 만든 마루, 옷, 그릇...진화한 글자전시회에 어른들도 “와”

Posted October. 05, 2019 07:25   

Updated October. 05, 2019 07:25

中文

 3일 방문한 경기 파주시 활판인쇄박물관 ‘활자의 숲’에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었다. 타자기와 인쇄기를 만져보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가족들이 적잖았다. 지난달 이곳의 방문객 수는 2500여 명. 상반기 나들이 시즌이나 여름방학 때 월평균 1300명 정도였던 것이 하반기 들어 크게 늘었다. 왕자혜 기획팀장은 “초중고교생과 가족들이 주요 관람객이었는데 최근에는 대학생들도 방문한다”면서 “지난달에는 미국 시카고대 미술대학 학생들이 찾아와 글자를 찾아 인쇄하는 체험을 하면서 즐거워했다”고 전했다.

 이곳에는 3500만 자의 활자와 자모(납을 부어 활자의 자면(字面)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글자를 새긴 판), 주조기가 있다. 우리나라의 마지막 활자제조 공장인 ‘제일활자’에서 옮겨온 것들이다. 대구의 봉진인쇄소에서 가동되던 활판인쇄기와 재단기, 충무로 인쇄골목에서 가져온 접지기와 무선제본기 등도 있다. 자신의 이름을 문선(활자를 골라 뽑는 일)해서 책 표지를 만들고 책 제본을 하는 체험 프로그램은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이상기 연구원은 “요즘 아이들에게는 잉크를 묻혀 인쇄를 하는 일이 어디서도 해보기 어려운 새로운 체험이고 어른들에게는 추억이 소환되는 과정”이라면서 “활자는 사라져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글자를 몸으로 느낄 수 있는 경험으로 활자를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관객들이 글자와 만나는 전시는 이렇듯 진화 중이다. 글자는 볼거리라기보다는 기록물이라는 인식이 강해 도서나 팸플릿 같은 전시의 증거품목으로만 사용됐던 게 사실이다. 그랬던 것이 최근 들어선 글자를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전시회와 박물관이 늘면서 주목받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에도 올 들어 방문객 수가 전년 대비 월평균 5000명 이상 증가하는 등 관객들의 발걸음이 부쩍 늘었다. 최근 선보이는 기획 전시는 ‘한글디자인: 형태의 전환’과 ‘한글의 큰 스승’전이다. ‘한글디자인’에서는 디자인과 패션 작가들이 한글이라는 글자의 형태를 주제로 삼아 다양한 작품을 내놓았다. 한글의 모아쓰기 구조를 서로 다른 모양과 색상으로 시각화한 ‘모아쓰기’(강주현 작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새긴 마루를 관객이 함께 걸을 수 있는 체험형 작품 ‘한글마루’(유혜미 작가), 훈민정음 28자의 형태를 기본적인 구조로 삼아 의자, 탁자, 옷걸이 등의 가구로 만든 ‘자음과 모음의 거실’(박길종 작가) 등 실험적인 전시물들을 만날 수 있다. ‘한글의 큰 스승’전에서는 한글학자 주시경, ‘홍길동전’ 작가 허균을 비롯해 동아일보 제목체 등을 만든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등 한글을 빛낸 사람들의 삶을 소개했다.

 김은재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평면인 한글을 어떻게 입체적으로 해석하고 어떤 조형을 창조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전시에 담겼다”면서 “특히 마루, 의복, 그릇 등 한글의 조형미를 이용한 상품들을 통해 관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을 제작해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면서 그 제품들 속에서 한글이라는 글자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5일 중구 통일로 ‘문화역서울 284’에서 개막하는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는 관람객들의 입소문과 함께 올해로 6회째를 맞은 행사다. ‘일상적으로 접하는 글자가 가진 미적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한 예술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실험의 장’으로 소개됐다. 지난 전시에 대해 관람객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글자만으로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글자를 어떻게 보이게 하느냐에 따라 세상이 달라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됐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던 터다. 올해 세계 22개국 127개 팀 작가들이 참여해 글자와 사물의 관계를 조명한다.

 글자를 감상의 대상으로 조명하는 최근의 경향과 관객들의 호응에 대해 김은재 학예연구사는 “디자인은 삶을 변화시키고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다”면서 “글자는 그 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이 되고 사용자들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거대한 디자인 프로젝트가 된다”고 말했다.


김지영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