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스마트폰 無관용 정책

Posted December. 28, 2017 08:47   

Updated December. 28, 2017 09:11

中文

 1968년 프랑스에서 촉발된 ‘68혁명’은 대학 당국의 여자 기숙사 출입금지에 대한 반발이 계기가 됐다. 당시 파리 낭테르대 학생들이 ‘사랑할 자유’를 내세워 대학 측의 권위와 통제에 맞선 것이 불씨였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 때 구호였던 ‘자유 평등 박애’ 중에서도 가장 첫 번째가 자유다. 프랑스인들은 자유가 꽃피우려면 관용, 즉 톨레랑스(tolerance)가 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고 본다. 프랑스에선 고속도로의 제한속도가 시속 130㎞인 도로에서 150㎞까지 과속해도 봐주듯 경우가 많다. 그 20km 차이를 ‘톨레랑스’라고도 한다

 ▷관용의 나라 프랑스가 무관용(앵똘레랑스·intolerance)를 내세웠다. 정부가 내년 9월부터 초·중학교 학생들은 교내에서 휴대전화를 아예 못쓰게 하는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수업시간은 물론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 등 학교 안이라면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금지하겠다는 것이다. 10명 중 9명이 스마트폰을 쓰는 프랑스 12“17세 청소년들은 ‘황당없다’는 반응이지만 프랑스 정부의 태도는 단호하다.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에 푹 빠지는 현상은 프랑스도 예외가 아니다. 학생들이 스마트폰에 쉬는 시간에 더 이상 뛰어놀지 않는다고 장-미쉘 블랑케 교육부장관이 개탄할 정도다. 스마트폰 몰입은 교육적으로도 문제지만 학생들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가득하다. 한 학부모단체가 “학생 수만큼 수거함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반대론을 제기했지만 블랑케 장관은 “장관 회의를 시작하기 전에 휴대전화를 맡겨두는 방식을 학교를 포함해 다른 집단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며 흔들리지 않는다.

 ▷한국은 프랑스와는 거꾸로 가고 있다. 지난달 국가인권위원회는 경기도 한 중학교가 교내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금지한 것은 통신의 자유 등 기본권을 제한한 것이라며 개선 권고를 내렸다.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상의해 각 학교 사정에 맞는 휴대전화 사용 규정을 만들라는 취지다. 인권위는 경기교육청에도 같은 취지로 관내 학교들을 점검하라고 했다. 자유의 나라 프랑스와 동방예의지국 한국의 반대로 가고 있다. 어느 쪽이 옳은 방향인가.